[이뉴스투데이 방은주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은 해방 후 친일청산 기구의 역할을 하다 1년 만에 해체된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의 유족들을 만나 반민특위 진실을 기록하고 사료를 발굴하는 등 역사정의 실현에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13일 국회 사랑재에서 반민특위기념사업회 임원진과 유족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갖고 이러한 내용을 강조했다.
우 의장은 "반민특위의 설립과 활동, 그리고 와해의 과정은 해방 이후 우리 국가가 겪어야 했던 아픈 역사"라며 "반민족행위처벌법에 따라 출범한 반민특위는 일제강점기에 민족을 배신하고 부일에 앞장선 자들을 단죄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정의의 시작'이었으나 1949년 6월 6일 경찰의 청사 습격으로 활동이 중단됐고, 민족반역자 처벌은 역사 속에 미완으로 남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반민특위의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이며, 친일 청산의 미완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고 했다.
이에 "앞으로도 반민특위의 진실을 기록하고, 사료를 발굴·보존하겠다"며 "교육과 기념사업을 통해 후대에 전하는 일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역사정의와 독립운동 정신이 살아 숨 쉬는 나라를 만드는 데 국회가 함께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반민특위가 이루려 했던 역사정의와 민족자존의 꿈이, 우리 시대에 결실을 맺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정륙 반민특위기념사업회 이사장은 "앞으로도 반민특위기념사업회는 반민특위의 정신을 이어받아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화답했고, 이준식 반민특위기념사업회 이사는 "제헌국회, 반민특위에 대한 자료 수집 및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국회의 지원을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날 오찬 간담회에는 반민특위기념사업회 김정륙 이사장, 이준식 이사와 반민특위 유족들이 참석했으며, 국회에서는 이원정 정책수석비서관이 함께했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