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의 후예라 불리는 새가 있다. 길쭉한 다리 위에 사람 얼굴만큼 큰 부리를 얹었고, 날개를 펼치면 2m가 넘는다. 부리는 신발처럼 넓고 두툼하며 끝이 갈고리처럼 굽어 있다. 눈빛은 차갑게 사냥감을 겨누고, 푸른빛이 감도는 회색 깃털은 습지 식생 속에 잘 녹아든다.
이 새의 이름은 ‘슈빌(shoebill)’이다. 수천만 년 전 조류의 형태를 간직해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리며, 보기만 해도 중생대의 거대 생물을 연상케 한다.
슈빌의 외형과 특징
슈빌의 주요 분포 지역은 우간다, 수단, 잠비아, 르완다 등으로 아프리카 동부와 중앙의 습지에 서식한다. 몸길이는 110~140cm, 날개 길이는 최대 2~3m에 이르고, 무게는 47kg 정도다. 부리는 길이만 20cm 이상이며, 옆에서 보면 두툼한 나무토막처럼 보인다. 끝부분은 갈고리처럼 굽어 있어 미끄러운 먹잇감을 놓치지 않는다.
깃털 색은 푸른빛이 감도는 회색으로 위장 효과가 뛰어나 물가 식생 속에 숨어있기 좋다. 눈은 밝은 회색이며, 날카로운 시선이 사냥감을 겨냥한다. 목은 짧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유연해 먹이를 물속 깊이 찌를 수 있다. 다리는 길고 튼튼해 얕은 늪이나 진흙 위에서도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다.
특히 부리 모양 때문에 ‘신발 부리 황새’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황새과와는 계통적으로 멀고, 고대 조류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어 진화학적으로 귀중한 연구 대상이다.
독특한 사냥법과 생태
슈빌은 사냥할 때 먹잇감을 향해 천천히 접근하거나, 아예 움직이지 않고 길게는 30분 이상 같은 자세로 서 있다. 틸라피아, 메기 같은 물고기나 개구리, 작은 뱀, 심지어 작은 악어 새끼까지 사냥 대상이 된다. 순간적인 부리 내리치기는 시속 50km에 달할 만큼 빠르다.
사냥에 성공하면 부리를 부딪쳐 ‘클래핑(clapping)’ 소리를 내기도 한다. 이는 동종 개체와의 의사소통이자, 자신의 영역을 알리는 신호다. 슈빌은 보통 건기인 4~6월 사이에 번식하며, 수컷과 암컷이 함께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수초와 갈대를 엮어 만들며 지름이 1m에 달한다.
새끼는 부화 후 약 3~4개월간 부모의 먹이 공급에 의존한다. 성장 속도가 느리고, 번식률도 낮아 개체 수 회복이 쉽지 않다. 이러한 생태적 특성은 슈빌이 멸종위기 등급에 오르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보전 상태와 위협 요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슈빌을 ‘취약(Vulnerable)’ 종으로 분류한다. 개체 수는 추정 3,000~5,000마리로, 습지가 농경지와 주거지로 개발되면서 먹이 자원이 줄고, 번식지가 훼손됐다. 현지에서는 알과 새끼를 채집해 애완용으로 팔거나 박제 판매를 위해 사냥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슈빌은 사람에 대한 경계심이 적어 생태관광의 대상으로 인기가 높지만, 무분별한 접근은 번식에 악영향을 준다. 일부 국가에서는 슈빌 관찰 투어에 접근 거리를 제한하고, 둥지 주변 출입을 금지하는 규정을 마련했다.
보호 활동은 서식지 보전이 핵심이다. 국제 NGO와 현지 정부가 함께 습지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밀렵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슈빌의 행동 패턴과 번식 습성을 장기 모니터링하며 보전 전략을 세우고 있다. ‘살아있는 공룡’이라 불리는 이 새를 다음 세대에도 볼 수 있으려면, 사람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다.
한국에 사는 단 한 마리 슈빌
1년에 4억 원대의 먹이를 먹는다는 슈빌이 한국에도 단 한 마리 있다. 경남 사천의 아쿠아리움에 있으며, 2016년 한국에 들어왔다. 당시 사육사들은 슈빌이 낯선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먹이를 거부하는 상황에 부딪혔다고 전했다.
이후 슈빌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폐어’로 불리는 고급 어종인 폴립테루스를 제공했다. 한 마리 가격이 20만~30만 원에 달하며, 슈빌은 하루 평균 5마리를 먹는다. 이 계산대로면 한 달 먹이 비용이 3000만 원, 1년이면 4억 원이 넘는다.
현재 이 슈빌은 미꾸라지를 먹으며 지내고 있다. 사육사들은 값비싼 먹이 대신 국내에서 구하기 쉬운 먹이로 바꾸면서도 영양을 맞추기 위해 꾸준히 관찰하고 있다. 국내 유일의 슈빌이자, 전 세계적으로도 귀한 이 새는 아쿠아리움의 대표적인 인기 동물로 자리 잡았다.
Copyright ⓒ 위키푸디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