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머니=홍민정 기자] 정부 규제로 좌초됐던 가상자산 기반 결제 서비스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판 삼아 다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결제 전문기업 다날의 자회사 페이프로토콜이 발행한 가상자산 ‘페이코인(PCI)’이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간접 결제 방식으로 국내외 결제 시장에 재진입을 시도하면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다날은 최근 마스터카드와 연동되는 ‘페이코인 카드’를 출시하고,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이 카드는 이용자가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결제하면 보유 중인 페이코인이 자동으로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돼 결제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다날은 “페이코인을 환전 없이 애플페이나 구글페이를 통해 전 세계 마스터카드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며 “국내 도입을 위한 기술 고도화 작업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향후에는 페이코인이 직접 결제 자산으로 기능하는 방식까지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페이코인은 지난 2019년 출시돼 CU, 세븐일레븐, 도미노피자 등 6만여 개 가맹점과 제휴하며 국내 가상자산 결제 모델의 선두주자로 떠올랐다. 하지만 2023년 가상자산사업자(VASP) 변경 신고에 실패하면서 국내 결제 서비스는 중단됐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당시 페이프로토콜이 가상자산 매매업 신고 요건을 갖추지 못해 불수리 처분을 내렸다. 가장 큰 문제는 가상자산과 금전 간 직접 교환을 위한 은행 실명계좌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점이었다.
이후 다날은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글로벌 결제 인프라 기업 알케미페이와 협력해 베트남과 필리핀에서 결제 사업을 추진했고, 일본에서는 현지 업체와 손잡고 주차장에 가상자산 결제 시스템을 도입했다.
그러나 최근 정부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정책 기조를 바꾸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디지털자산기본법에는 스테이블코인 발행 근거가 담겼으며, 이재명 대통령 역시 대선 공약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약속한 바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다날의 국내 재진출을 자극했다.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은 기존 가상자산 직접 결제보다 규제 부담이 적고, 제도권 내에서도 논의가 가능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다날은 규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 인프라 고도화와 대관 인력 보강에도 나서고 있다.
다날 관계자는 “제도화 대응을 위해 전사적으로 시스템을 정비 중이며, 입법 및 정책 논의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역시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현실화되면 과거 좌초됐던 가상자산 결제 모델이 재조명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직접적인 가상자산 결제는 여전히 규제 리스크가 크지만, 스테이블코인을 매개로 한 간접 결제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Copyright ⓒ 센머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