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K-푸드 수출 66.7억 달러…라면·소스·아이스크림 ‘삼각 상승’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올 상반기 K-푸드 수출 66.7억 달러…라면·소스·아이스크림 ‘삼각 상승’

한스경제 2025-07-06 08:20:03 신고

3줄요약
라면 판매대. /연합뉴스
라면 판매대. /연합뉴스

[한스경제=김동주 기자] 올 상반기 라면·아이스크림·소스류 등 가공식품의 고성장과 닭고기·유자 등 신선식품의 선전에 더해, 농약·동물약품 등 농산업 분야도 호조를 보이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전체 수출이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농식품부)는 2025년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액(잠정)이 지난해보다 7.1% 증가한 66.7억 달러를 달성했다고 최근 밝혔다. 케이-푸드 플러스는 농식품(신선, 가공)과 농산업(스마트팜, 농기자재, 동물약품 등) 등을 의미한다.

농식품은 51.6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했으며 수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권역은 북미(24.3%↑), 유럽연합(EU+영국, 23.9%↑), 걸프협력회의(GCC, 17.8%↑), 독립국가연합(CIS+몽골, 9.0%↑) 순이었다.

분기별 수출액 증가율은 1/4분기(1~3월), 2/4분기(4~6월) 각각 9.8%, 7.7%였으며 주력시장인 미국, 중국, 일본의 경우, 2/4분기 수출 증가율이 1/4분기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5000만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가공식품 중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큰 상위 품목은 라면(24.0%↑), 아이스크림(23.1%↑), 소스류(18.4%↑)이다.

라면은 매운맛에 대한 글로벌 인기와 함께 매운 크림라면 등의 신제품이 해외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고, 중국,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는 현지법인과 대형 유통매장 중심의 안정적인 유통체계가 확립되었으며, 유럽, 아세안 등 신시장으로의 진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소스류는 한식에 대한 인지도 확산 및 매운맛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고추장, 쌈장, 매운맛 소스, 불고기 소스 등이 미국, 일본, 중국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아이스크림은 수출 실적이 가장 큰 미국 시장에서 대형 유통매장 판매가 증가하였고, 유제품 수출이 어려운 시장(캐나다 등)에서는 식물성 아이스크림으로의 대체를 통해 수출 증가를 이끌어냈다.

2000만불 이상의 수출 실적을 보인 신선식품 중 전년 대비 증가가 높은 품목은 닭고기(7.9%↑), 유자(5.5%↑)이다.

닭고기 수출 중 신선 가금육은 산란노계 최대 수출국인 베트남의 검역 강화에도 1분기에 이은 성장세(7.6%↑)를 보였다. 열처리가금육 수출 호조는 삼계탕, 냉동치킨 인기에 의한 것으로 수출 1위 국가는 미국이며, 지난해 검역 협상이 타결된 EU 및 영국으로의 상반기 수출액은 이미 전년도 전체 실적의 2배를 상회했다.

유자의 경우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한국산 유자차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면서 미국, 일본, EU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 현지 대형유통매장 내 입점이 지속되고, 일본에서는 음용 편의성을 높인 다양한 패키지가 출시되면서 수출이 증가했다.

농산업의 상반기 수출 실적도 15억불로 전년대비 3.1%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 상위 품목은 동물용의약품, 농약, 종자, 비료이다.

동물용의약품은 지난 5월 말까지 51.0% 성장한 1억 672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다. 라이신(동물용 영양제), 화학제제, 의료기기 품목에서 수출이 증가하며 동물용의약품 전체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라이신은 유럽에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60.0% 늘어났으며 화학제제는 브라질, 동남아 지역에서, 의료기기는 미국, 유럽 지역에서 수요가 증가했다.

농약은 지난해(64.3%↑)에 이어 올해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이어가며 22.4% 성장한 4억 9020만 달러 수출을 기록했으며 중국, 베트남, 브라질 시장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높았다. 

종자는 미국 등에서 국산 채소종자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에 힘입어 전년 대비 14.1% 증가한 2730만 달러를 기록했다. 비료는 주력 시장인 동남아에서 한국산 고품질 제품의 마케팅을 강화한 것이 주효하여 전년 대비 6.8% 증가한 2억 2210만 달러를 수출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미 상호관세, 환율 등 녹록하지 않은 글로벌 무역 환경 속에서도 2025년 상반기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수출기업과 정부가 민관 원팀으로 노력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송 장관은 연초부터 상반기 내내 케이-푸드 플러스 수출 확대를 위해 쉼 없이 현장을 달려왔다. 올해 1월, K-Food+ 수출 140억 달러를 목표로 하고 ‘2025년 K-Food+ 수출확대 전략’을 수출기업 및 유관기관과 공유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2월에는 수 확대 세부 전략을 발표했따. 4월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발표 직후 긴급 간담회를 개최해 수출업계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정부 차원의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송 장관은 “상반기 견조한 케이-푸드 플러스(K-Food+) 수출 실적을 발판으로 삼아 연말까지 140억 달러 수출 목표가 달성되도록 수출기업의 상품 개발, 해외 온․ 오프라인 판촉, 관세/비관세장벽 등 컨설팅, 환율․물류 등 수출 리스크 대응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Copyright ⓒ 한스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