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썰 / 손성은 기자] 국제유가와 환율이 내리면서 수입 물가가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에 따르면 지난 5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은 134.63을 4월(139.82) 대비 3.7% 내렸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 2월부터 넉 달 연속 하락세로 5월 하락 폭은 지난 2023년 11월(-4.3%) 이후 가장 컸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가운데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내리면서 수입물가가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4월 평균 1444.31원에서 5월 평균 1394.49원으로 3.4% 내렸다.
국제 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7.74달러에서 63.73달로 5.7% 하락했다.
원재료 5.5%, 중간재 3.2%, 자본재 2.7%, 소비재 2.3% 떨어졌다.
품목별로 보면 광산품(-5.6%)과 석탄·석유제품(-4.2%)의 하락률이 컸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원유(-9.2%), 무연탄(-7.8%), 커피(-6.1%), 수산화알루미늄(-4.9%), 액정표시장치용부품(-4.4%), 나프타(-4.2%) 등이 크게 내렸다.
5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4월(133.05)보다 3.4% 내린 128.56으로 나타났다.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세다. 하락 폭은 지난 2023년 11월(-3.4%) 이후 가장 컸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0.8% 내렸고, 공산품도 화학제품(-3.8%), 석탄·석유제품(-4.1%) 등을 중심으로 3.4% 하락했다.
5월 무역지수는 수입물량지수(110.43)가 전년 동월 대비 1.3% 올랐지만, 수입금액지수(128.35)는 6.3% 내렸다.
수출은 물량지수(121.48)는 2.5% 상승했고, 금액지수(133.43)는 1.9%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4.50)는 작년 동월 대비 3.4% 올라 23개월 연속 상승했다. 수입가격(-7.5%)이 수출가격(-4.3%)보다 더 크게 하락한 영향이다.
소득교역조건지수(114.80)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3.4%)와 수출물량지수(2.5%)가 모두 상승하면서 전년 대비 6.0% 올랐다.
Copyright ⓒ 직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