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오현주 문화전문기자] 바스러질 듯한 나뭇잎 몇 장이 흩날린다. 잎보다 바짝 더 마른 나뭇가지는 덩달아 휘청이고. 실처럼 가늘어진 가지는 더 이상 나뭇잎을 지탱할 힘이 없나 보다. 애써 그 곁으로 뻗어보지만 제 몸 하나 가누기도 힘겹다. 속절없이 떨군다. 세상에 이렇게 애절한 ‘연’이 또 있으려나.
 |
김진관 ‘관계’(2025 사진=한벽원미술관) |
|
작가 김진관(71)의 마음과 눈이 다시 이 땅의 작은 ‘관계’(2025)에 가닿았다. 작가는 풀이나 과실 등의 식물, 곤충에 늘 애정을 기울여 왔다. 그 작은 생명체들을 한지에 채색안료로 정성껏 담아내는 작업이다. 굳이 동양화적인 장르를 따지자면 ‘초충도’쯤 될까.
옛 그림이 그랬듯, 흔히 ‘미물’이라고 세간의 관심에서조차 밀려난 그들에 작가가 붓끝을 내준 건 단순히 ‘그린다’의 차원을 넘어선다. “작은 열매, 하찮은 풀 한 포기라도 그 외형 이전에 존재하는 생명의 근원을 생각하게 됐다”니까. 그렇게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 생명에 공기·빛을 만나게 해주고, 돌고 도는 자연의 순환에 올려 태우고, 종국엔 우주의 이치에까지 당도케 한 거다.
이전 작업과 달라진 게 있다면 ‘그리지 않고 그린 공간’이라고 했던 여백을 배경으로 채운 점이라고 할까. 덕분에 어찌 보면 유려한 붓글씨의 획으로도 보이는, 차마 말로는 못 꺼낸 저 ‘관계’가 더 선명해졌다.
6월 15일까지 서울 종로구 삼청로 한벽원미술관서 여는 기획초대전 ‘빠져들다: 김진관’에서 볼 수 있다. 장지에 채색. 156.6×127.5㎝. 한벽원미술관 제공.
 |
김진관 ‘마음 1’(2025), 장지에 채색, 144.5×111.5㎝(사진=한벽원미술관) |
|
 |
김진관 ‘달개비’(2025), 광목에 채색, 175×110㎝(사진=한벽원미술관) |
|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