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경제=이성노 기자]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사의 해외부동산 부실 우려 규모가 2조6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4년 9월 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으로 이전 분기 대비 5000억원이 감소했다.
금융권별로 보면, 보험이 30조4000억원(54.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은행(12조원·21.5%)·증권(7조7000억원·13.8%)·상호금융 (3조6000억원·6.5%)·여전사(2조원·3.6%)·저축은행(1000억원·0.2%)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 34조1000억원(61.1%)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0조8000억원(19.4%) △아시아 3조8000억원(6.8%) △기타 및 복수지역 7조1000억원(12.7%)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000억원 가운데 2조6400억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지난해 3분기 중에도 400억원이 증가하는 등, EOD 규모는 확대되는 추세다. EOD 발생 규모를 보면, 지난해 3월 말 2조5000억원(+900억원)·6월 말 2조6100억원(+1100억원)·9월 말 2조6400억원(+400억원) 등이다.
EOD는 채권자인 금융기관이 채무자에게 빌려준 자금에 대해 만기 전에 회수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채권자가 채무자의 신용 위험이 커졌다는 판단 하에 대출 만기 전에라도 채무를 회수한다는 뜻이다.
금융감독원은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특히 오피스 시장은 구조적 요인(유연근무 확산 등)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으나,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사의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 확보 하에 해외 대체투자가 이루어지도록 감독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동시에 특이 동향이 발생했거나, 익스포져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고 적정 손실 인식 등을 유도할 방침이다.
Copyright ⓒ 한스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