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가운데 전체 투자액 55조8000억원 중 7.71%인 2조6400억원이 부실 우려 자산으로 파악됐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5000억원 줄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 7182조7000억원 대비 0.8%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부실 우려 자산은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자산으로, EOD 발생 규모는 작년 3월 말 2조5000억원에서 6월 말 2조6100억원, 9월 말 2조640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기한이익상실은 이자·원금 미지급이나 담보 가치 부족 등에 따라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사 투자액이 30조4000억원으로 전체의 54.3%를 차지했다. 이어 은행 12조원(21.5%), 증권 7조7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5%), 여전 2조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 투자 비중이 34조1000억원으로 61.1%를 차지했다. 유럽은 10조8000억원(19.4%), 아시아는 3조8000억원(6.8%), 기타 및 복수지역은 7조1000억원(12.7%)이었다.
전체 투자 중 12조원은 2025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며, 2030년까지 만기 예정인 금액은 42조5000억원으로 전체의 76.2%다.
금감원은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특히 오피스 시장은 유연근무 확산 등 구조적 요인과 맞물려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의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했다. EOD가 발생했더라도 투자자 간 대출 조건 조정, 만기 연장 등으로 해결할 수 있는 데다 자산 매각 시 배분 순위에 따라 투자금 일부 또는 전액을 회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곧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 확보 아래 해외 대체투자가 이뤄지도록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익스포져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뤄지도록 지도하고 적정 손실 인식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투데이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