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이 9일째 완전히 진화되지 않고 있다.
29일 행정안전부 중앙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후 4시 기준 이번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30명, 부상자는 43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경남 산청에서 4명, 경북 의성에서 26명 발생했다.
산불 피해 사망자는 전날 대비 2명 추가됐다. 중상으로 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남성이 사망했고, 불에 탄 주택에서 시신 1구가 추가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산불은 지난 21일 경남 산청을 시작으로 영남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며 큰 피해를 발생시켰다. 피해 면적은 총 4만8238㏊로, 서울 여의도의 166배에 달하는 규모다.
경남 산청 지역 산불의 경우 지리산에 낙엽층이 두껍게 쌓여있고 진입로가 없어 진화 작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급경사지와 고밀도 숲 구조로 인해 효과적인 진화가 어렵고 진입로가 없어 장비 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고 밝혔다.
경북 지역의 경우 전날 초대형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는 소식에 많은 시민들이 기뻐했지만, 밤사이 의성·안동 일부 지역에서 산불이 다시 일어나면서 재발화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산불 대응 중대본을 주재한 자리에서 "밤낮없이 화마와 사투를 벌인 산불진화대, 산림청·소방청·지자체 공무원, 군 장병들의 헌신 덕분에 전례 없는 대형 산불을 진화할 수 있었다"라며 "아직 잔불이 살아날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지금부터는 불길이 되살아나지 않도록 뒷불 감시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불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이재민은 6000명이 넘는다. 임시주거시설 242개소에는 총 4202세대 6897명이 지내고 있다.
정부는 경북·경남 두 곳의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피해 주민에 대한 구호 및 신속한 피해복구에 범정부 차원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센터는 민원, 심리지원, 융자·세금 상담, 시설복구 등 여러 애로사항을 처리하고, 지자체 공무원 대상 현장컨설팅을 통해 신속한 피해조사와 복구계획 수립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 경북 산불 '149시간 사투 끝' 주불 진화
- '역대급 산불' 피해 키운 원인은?
- 산불에 발 묶인 어르신들...고령층 재난 대응 충분한가?
- '집이 하루아침에 없어졌어요'...산불 장기화에 갈 곳 잃은 주민들
Copyright ⓒ BBC News 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