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랜 치료 기간 필요한 치과 교정 치료
치열이 바르지 못해 기능적·심미적 문제가 있다면, 교정 치료를 고려한다. 하지만 치료 기간이 수개월에서 수년간 장시간 소요되기 때문에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것은 치아 이동에 필요한 ‘잇몸뼈 리모델링’ 자체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잇몸뼈 리모델링’은 치아가 움직이려면 이동하는 방향으로는 잇몸뼈의 흡수가 일어나고 반대쪽에서는 잇몸뼈의 형성이 일어나는 전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잇몸뼈의 흡수·형성 속도가 치아 이동 속도를 좌우하며, 결국 치과 교정치료 기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 잇몸뼈 리모델링 성인보다 성장기 어린이가 빨라
잇몸뼈 리모델링 속도는 보통 성장기의 아이들이 성인보다 빠르다. 성인기보다는 성장기에 치과 교정 치료를 하는 것을 더 권장하는 이유다. 성인기에서도 나이가 더 많을수록 더 느려지는 경향이 있어 청년보다는 중년이, 중년보다는 장년이, 장년보다는 노년에서 치료 기간이 더 오래 걸린다. 이에 더해 나이가 많을수록 잇몸뼈 형성이 적어지는 경향도 있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약물, 레이저 자극, 수술’ 등으로 치아 이동 속도 높여
이러한 치아 이동의 원리로 인해 예전부터 많은 연구자가 치아 이동을 빠르게 하는 방법을 연구해 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 △전기나 레이저 자극 진동 자극 같은 물리적인 자극을 활용하는 방법, 그리고 △잇몸뼈에 대한 직접적인 수술·시술을 통한 방법이다.
◇ 약물, 레이저 자극은 한계로 인해 사용 어려워
약물을 이용하여 잇몸뼈의 흡수와 형성을 빠르게 하는 방법은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분야다. 연구 결과 실제 효과가 있다는 보고도 있지만, 약물 주입 문제와 약물 지속 문제, 그리고 약물이 전신 건강에 미칠 우려 등으로 인해 실제 치료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레이저나 진동 자극 이용 방법도 실제 임상에서 적용이 되기도 했지만, 연구자 간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어 아직은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잇몸뼈 수술·시술
임상에서 가장 많이 시도되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방법은 잇몸뼈에 대한 수술·시술이다. 뼈에 손상이 일어나면 이를 빠르게 치유하기 위해 뼈 형성과 흡수에 관여하는 세포들이 빠르게 그리고 많이 해당 부위로 모여들면서 뼈의 리모델링 속도가 빨라진다. 이런 뼈 손상에 대한 치유 속성을 활용해 치아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다. 특히 중장년층의 성인, 잇몸뼈가 좁아서 치아를 움직이기 어려운 사람, 치아 뿌리가 짧은 사람, 그리고 교정 치료 기간을 줄이고 싶어 하는 경우 효과가 좋다. 다만 수술·시술에 대한 부담감, 통증의 동반, 짧은 효과 지속시간 등의 단점이 있다.
◇ 잇몸뼈 피질골에 절단술이나 절개술 시행
잇몸뼈에 대한 수술·시술은 크게는 뼈의 가장 단단한 부분인 피질골을 제거하는 피질골 절단술과 잇몸뼈에 간단히 상처를 내는 피질골 절개술이 있다. 잇몸뼈가 좁은 경우 이런 수술과 함께 뼈 이식재를 넣어서 잇몸뼈를 넓혀 주는 치료도 같이하게 된다. 치료 범위가 넓어지면 효과도 늘지만, 통증도 함께 커진다. 또한 뼈의 형성 능력은 나이에 따라 달라져 나이가 많을수록 치아가 이동한 만큼 잇몸뼈가 만들어지지 못할 수 있고, 특히 잇몸뼈가 좁으면 더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단순히 치료 기간을 줄이려는 목적보다는 안전하게 치아와 잇몸뼈를 이동시키기 위해 시행해야 하며, 반드시 치과 교정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수술·시술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