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방어사령관' 최상목, 정작 원화 약세 때 강달러 베팅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환율방어사령관' 최상목, 정작 원화 약세 때 강달러 베팅

프레시안 2025-03-29 13:38:17 신고

3줄요약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원화 가치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던 지난해 환율이 오를수록 수익이 나는 30년 만기 미국채를 2억 원가량 매입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환율 방어 책임자가 정작 달러에 베팅한 셈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명백한 배임이라고 직격했다.

28일 이원혁 민주당 부대변인은 "최상목 부총리가 지난해 2억 원 상당의 미국 국채에 투자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원화 가치를 방어해야 할 경제 사령관이 원화 가치가 하락할수록 수익을 얻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다니 제정신이냐"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26일 공직자 재산공개 현황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작년 미국채 30년물인 'T1.375 08/15/50'을 매수해 연말 재산신고 시점 기준 1억9712만 원어치를 보유했다. 이 채권은 미국 재무부가 2020년 발행한 2050년 만기 채권이다.

최 부총리가 미국채를 매입한 지난해는 원달러 환율이 사상 최고치로 치솟았다. 환율 1400원을 돌파하리라는 전망이 쏟아질 정도로 원화 가치가 하락한 시점이다. 특히 12.3 비상계엄까지 터지면서 지난해 연말 종가 기준 환율은 1472.5원까치 치솟아 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환율을 지켜야 하는 기재부 장관이 앞장서서 원화를 팔고 달러채를 산 것이다. '배임'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최 부총리는 이미 이런 투자가 부적절하다는 점도 알고 있었다. 최 부총리는 2023년 12월 국회 인사청문회 때 대통령실 경제수석 시절 1억7000만 원 어치 미국채를 매입한 사실이 알려져 곤욕을 치른 바 있다. 당시 최 부총리는 비판에 직면하자 연말 재산신고 전 해당 상품을 팔았다.

이런 일을 당하고도 불과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 다시 미국채를 산 것이다.

이번 일에 관해 최 부총리 측은 공직자윤리법상 미국채 매입 자체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대변인은 그러나 "경제수장으로서 이보다 심각한 범죄가 어디 있느냐"며 "명백한 배임"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미국채 매입 시점이 언제인지를 밝히는 등 관련 사실을 투명하게 밝히라고 촉구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피터 스네이어스 유로클리어 CEO와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