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얀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 종합병원에서 현재까지 최소 사망자가 20명, 부상자가 300명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만달레이 종합병원의 한 의료진은 “부상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지만 치료할 의사와 간호사가 충분하지 않고 의료용 솜도 거의 다 떨어져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지진의 진앙에서 가까운 만달레이는 미얀마의 제2 도시로, 인구는 120만명으로 추산된다. 수도 네피도에서도 대규모 사상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 종합병원 앞에 줄을 서는 모습이 외신에 포착돼 인명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날 낮 12시 50분쯤(현지시간)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진의 진앙은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각각 떨어진 지점이었다. 진원 깊이는 10㎞로 얕아 피해가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규모 7.7 강진이 발생한 뒤 약해진 지반을 다시 뒤흔든 규모 6.4 여진의 진원도 깊이가 10㎞에 불과했다.
이런 이유로 지진의 충격이 완화되지 못하면서 인근 5개 도시의 건물 여러 채와 고속도로, 다리도 파손됐다. 현지에서는 미얀마가 군사정권의 통치를 받고 있어 지진에 대한 당국의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지진 발생 후 피해를 본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강진 발생 후 미얀마 주재 한국대사관은 영사 협력원 등을 통해 현지 교민과 관광객 등 한국 국민의 피해 여부를 파악 중이다. 미얀마 한인회와 미얀마 양곤지회 등도 교민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