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병원-기업과 협력해 현장서 환자 투석 도와
대한신장학회가 산불 피해지역 투석환자의 치료 공백을 막기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섰다.
학회는 화재로 인해 대피한 투석환자들을 위해 의료진 및 지역 병원과 긴밀히 협력하고 필요한 의료 자원을 지원하기 위해 다각도로 소통했다고 밝혔다.
산불 피해로 긴급 대피한 일부 말기콩팥병환자는 전력 공급 중단과 병원 접근의 제한으로 인해 안정적인 투석 치료를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투석 치료는 하루만 중단돼도 건강히 심각하게 악화되고 자칫 생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재난상황에서도 치료가 가능하도록 대비해야 한다.
특히 이번 산불로 인해 재택 복막투석환자의 경우 가정 내 충분한 복막 투석액을 확보하지 못하거나 전력 차단 문제로 인해 야간에 기계로 하는 자동복막투석을 시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으로의 전환을 위한 의료자원도 대비 차원에서 필요한 상황이다.
실제 경북지역 60대 여성 환자는 산불의 위협으로부터 대피할 때 생명수와 같은 복막 투석액을 가장 먼저 챙겨 대피소로 향했다고 한다. 환자는 복막투석 진료를 담당한 칠곡경북대병원 신장내과 의료진과 복막투석회사(밴티브)의 상담간호사들과의 소통을 통해 대피소에서도 안전하게 복막투석을 시행하고 3일 만에 집으로 돌아갔다.
복막투석은 환자가 집에서 스스로 투석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월 1회 정도 병원에 방문하기 때문에 병원과 거리가 먼 곳에 거주해도 직장과 학업 등을 유지하면서 좀 더 유연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한편 학회는 내부 재난대응위원회를 가동, 해당지역 투석환자의 안전과 치료 지속 가능 여부를 면밀히 점검했다.
재난대응위원회 이영기 이사는 “안동지역 투석병원들은 시내에 있고 산과는 떨어져 있어 안전하게 혈액투석을 진행할 수 있고 의성, 안동 지역의 복막투석환자 2명이 대피소에서 투석하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대피한 환자들은 1주일분의 복막투석액이 확보된 상태”라고 전했다.
학회는 유사 시 해당 투석 회사들과 연락을 취하면서 복막투석액의 응급배송 등의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박형천 이사장은 “이번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모든 분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며 “치료의 연속성이 생명과 직결되는 투석환자들이 안전하게 치료를 이어갈 수 있도록 학회는 의료진과 기업, 지역사회와 협력하며 필요한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