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을 보기 위해 하루에도 몇 번씩 화장실을 간다. 소변을 본 후 무심코 물을 내리지만, 소변은 우리 몸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인 만큼, 소변의 색깔, 냄새, 혼탁도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소변은 인체 내에서 여러 물질이 대사된 후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콩팥에서 노폐물이 걸리지면서 소변이 만들어지고, 이후 방광에 저장돼 있다가 요도를 거쳐 배출된다. 건강한 성인의 하루 소변량은 1~1.5L이며, 보통 5~6회, 1회당 350mL의 소변을 배출한다.
먼저 소변의 양을 확인해야 한다. 소변량이 줄어드는 것은 콩팥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심박출량의 4분의 1 정도의 혈액이 콩팥으로 가게 되는데, 콩팥으로 가는 수분의 양이 적어지면 소변량이 줄어들게 된다.
땀을 많이 흘려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경우나, 출혈·감염 등 쇼크에 의한 저혈압으로 인해 혈액을 충분히 콩팥으로 보내지 못하기도 한다. 급성이나 만성으로 콩팥 자체가 망가져 기능을 못 해도 소변량이 줄어든다.
하루 소변량이 500mL 미만이면 심한 탈수증과 오줌길 막힘, 진행된 만성콩팥병 등을 의심해 볼 수 있고, 반대로 소변량이 하루 3L 이상이면 과도한 수분 섭취, 당뇨병, 요붕중을 의심할 수 있다.
소변에서 냄새가 나는 것도 문제가 된다. 정상적인 소변은 냄새가 거의 나지 않고 약한 산성을 띤다. 만약 소변에서 암모니아 냄새가 심하게 난다면 탈수에 의해 농도가 짙어졌거나 요로감염을 의심할 수 있다. 퀴퀴한 냄새는 간질환이나 대사장애, 달콤한 냄새는 당뇨병과 같은 대사장에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소변은 거품이 생기더라도 양지 많지 않다. 소량의 거품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거품이 비누를 풀어놓은 듯 많고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다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고 있다는 신호다.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오는 단백뇨는 신장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하며 바로 소변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량의 단백뇨라도 방치할 경우 콩팥 기능이 빠르게 악화할 수 있는 만큼 반드시 검사가 필요하다.
소변의 색깔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정상적인 소변은 맑은 황갈색으로 옅은 맥주 빛깔을 띠지만, 간 기능 이상 등으로 황달이 심해지면 진한 노란색의 소변이 된다. 콜라색의 짙은 소변은 급성신장염, 붉은 혈뇨는 급성방광염과 같은 요로감염 및 방광암이나 신장암에서 비롯될 수 있다.
Copyright ⓒ 헬스위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