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윤채빈 기자] 미국 컬럼비아대가 ‘교내 반유대주의 운동 방치’를 이유로 보조금 지원을 중단한다는 정부의 선언에 한발 물러섰다.
22일(현지시각) NBC 등 외신에 따르면, 컬럼비아대는 연방 정부로부터 끊긴 4억달러(5800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복원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컬럼비아대가 반유대주의 운동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대학의 연방 보조금을 전면 중단했다. 컬럼비아대는 보조금 중단으로 첨단 의학 및 과학 연구 프로젝트가 중단될 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부는 이후 대학 측에 서한을 보내 지원금 복원의 조건으로 9가지의 요구 사항을 제시했고, 컬럼비아대는 행정부의 요구 사항을 대부분 이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대학은 시위 중 학생들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학생들을 체포할 권한을 가진 36명의 캠퍼스 보안 요원을 고용할 예정이다. 또한 중동·남아시아·아프리카 연구센터를 감독할 선임 교무부처장직을 신설하기로 했다.
카트리나 암스트롱(Katrina Armstrong) 임시 총장은 성명을 통해 “학문적 활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의 요구에 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학내에서는 강한 반발이 일고 있다. 학생 시위 단체인 ‘Columbia University Apartheid Divest’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컬럼비아대가 지난 17개월 동안 팔레스타인 학살을 중단하기는커녕 오히려 이에 가담하는 태도를 보였다”며 “대학이 트럼프 행정부의 '몸값 요구'를 수용할 것이라는 예상은 이미 충분히 명확했다”고 비판했다.
교수진 역시 대학 측의 결정을 비판했다. 역사학과 교수진 41명은 공동 성명을 내고 “대학이 행정부의 간섭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행정부의 이번 조치를 “권위주의 정권이 독립적 학문 기관을 통제하려는 시도”에 비유하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Copyright ⓒ 한국대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