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주완 LG전자 CEO는 25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진행된 ‘제 2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2030년까지 질적 성장 영역을 50% 이상의 비중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드리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B2B(기업간거래)’, 가전구독과 webOS 플랫폼 사업 등을 포함한 ‘논하드웨어(Non-HW)’, ‘소비자직접거래(D2C)’ 등을 ‘질적 성장’ 영역으로 정해 육성 중이다.
조 CEO는 “지난해 최대 매출 등 견조한 경영성과를 기록한 데에는 ‘질적 성장’이 크게 기여했다”며 “질적 성장 영역이 전사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42%로, 3년 전인 2021년과 비교해 13%포인트 증가했고, 영업이익의 비중은 71%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향후 회사 측은 수요와 가격 변동성이 낮고 고객 관계 기반의 확장성을 갖춘 B2B에 역량을 집중하고, 수익을 지속 창출하는 순환형(Recurring) 모델의 논하드웨어 사업을 확대하며 사업의 구조적 건전성을 확보해 나아갈 계획이다.
아울러 지경학적(Geo-economic) 변화 대응 차원에서 잠재력이 높은 지역에서 성장기회를 확보하는 것을 핵심으로하는 전사 사업 운영 방향도 제시됐다.
조 CEO는 “기존 사업의 성장 극대화를 통해 미래 성장 재원을 확보하고 기존 홈 중심 사업에서 모빌리티, 커머셜 등 B2B 영역으로 확장하는 전략과 수많은 디바이스를 플랫폼화 하겠다”며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사업(논하드웨어)을 확대해 나간다는 전반적 기조는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올해부터 기존 성장전략에 ‘지역’이라는 전략의 축을 더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지역에서의 성장 가속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LG전자는 아시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로 대표되는 신흥시장의 성장 잠재력과 사업기회 발굴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현재 수많은 IT 기업이 모이고 있는 중동과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가 확대되고 있는 아시아 지역 등에 집중해 성장에 드라이브를 걸 예정이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한 인도 역시 글로벌 사우스의 대표 지역인 만큼 LG전자는 지난 28년간 구축해 온 현지 사업 인프라를 기반으로 인도 특화 라인업, 생산·서비스·R&D 인프라 강화 등을 추진해 사업 영역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재무제표, 정관 변경, 이사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사 보수한도 등이 원안대로 승인됐다. 중간배당의 배당기준일 관련 규정 정비를 위해 정관을 개정했으며, 이사 보수 한도는 80억원으로 지난해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