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상상 못할 트럼프의 테슬라 띄우기, 2차전지 재도약 불씨 당겼다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한국에선 상상 못할 트럼프의 테슬라 띄우기, 2차전지 재도약 불씨 당겼다

르데스크 2025-03-25 14:56:55 신고

지난 2023년 하반기 이후 하락 곡선을 그렸던 2차 전지 관련주가 다시 기지개를 켜고 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미국 행정부 고위 인사들이 노골적으로 테슬라 밀어주기에 나선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 정부 주도의 '테슬라 밀어주기' 움직임의 여파는 우리나라 주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오는 2분기부터 2차 전지 관련주 대부분이 상승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테슬라 영업사원 자처한 트럼프와 정부 고위직들…국내 2차 전지 관련주 전망도 '맑음'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이날 테슬라는 전일 대비 11.93% 오른 278.39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지난해 1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다음날(6일) 14% 넘게 오른 이후 가장 큰 하루 상승 폭이다. 이날의 상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많은 국가에 관세를 면제를 해 줄 수도 있다"며 관세 유연화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테슬라 밀어주기' 발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공식 석상에서 아예 대놓고 테슬라 영업을 시도하기도 했다.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직접 테슬라 전기차를 시승하고 구매했다. 그는 "자동차가 너무 아름답다"고 환호성를 질렀다. 그러면서 "내 구매가 판매 부진과 주가 하락에 시달리는 테슬라를 부양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노골적인 표현도 거침없이 내뱉었다.   


▲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왼쪽)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부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현재 미국 관세정책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러트닉(Howard Lutnick)'도 '테슬라 밀어주기'에 적극 동참했다. 그는 19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출연해 "테슬라의 주식이 이렇게 싸다는 것이 믿기지가 않는다"며 "다시는 이렇게 싸지 않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러트닉 장관은 과거 월가에서 금융투자회사 캔터 피츠제럴드 CEO를 오랜 기간 역임한 이력을 지녔다.

 

미국 내에서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 공무원들의 노골적인 '테슬라 밀어주기' 움직임은 국내 증시에도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다. 25일 국내 증시에서 2차전지 관련주도 덩달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오전 12시30분 기준 전기차용 2차전지 공정 시설을 설비하는 씨케이솔루션은 전일 대비 3.40% 오른 1만5530원에 거래 중이다. 2차전지 부품 제조 기업인 성우하이텍과 세방전지도 각각 7.98%, 4.91%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앞으로 2차전지 관련주의 상승세가 더욱 본격화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테슬라를 필두로 한 전기차 수요 확대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어서다. 특히 이달 들어 국내 2차전지 업계를 대표하는 굴지의 기업들이 대규모 사업 투자에 나서고 있다는 점은 이러한 전망에 무게감을 싣고 있다. 

 

▲ [그래픽=장혜정] ⓒ르데스크

 

25일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국영전력공사 PGE와 수천억원대 규모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2026년부터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ESS(에너지저장장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난 14일에는 삼성SDI가 2조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발판 삼아 국내 전고체 배터리 라인 시설 투자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알렸다. 업황이 회복될 시기를 대비해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투자를 착실히 준비해나가겠다는 게 삼성SDI의 계획이다.

 

국내 2차전지 기업들은 트럼프정부 관세 정책에 대비하기 위한 준비 작업에도 착수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현지에서 GM, 혼다 등과 각각 합작해 두 곳의 공장을 짓고 있다. 애리조나에서는 독자 공장도 준공 중이다. 이 외에도 삼성SDI는 인디애나주에서 스텔란티스와, SK온은 포드·현대차와 각각 합작공장을 짓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 생산한 제품의 경우 관세부담 없이 미국 내 판매가 가능하다.

 

김현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재 2차전지 관련주는 정책 모멘텀이 부재하고 부진한 1분기 실적 확인을 앞둔 상황이라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는 있으나 적정 가치를 감안하면 오히려 추가 매수 또는 신규 매수를 준비하기엔 적절한 타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며 "글로벌 업황을 고려할 때 주가는 이제 부정론의 극단을 찍었던 2023년 8월에서 다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Copyright ⓒ 르데스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