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복수 매체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MBK파트너스, 홈플러스, 롯데카드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회사 간 특수관계 거래 전반에 대한 자료를 확보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는 이를 통해 롯데카드가 같은 계열사인 홈플러스에 한도나 수수료 등 기업 전용 카드의 거래 조건을 더 유리하게 제공했는지 등을 중점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또한 홈플러스가 집상환전환우선주(RCPS)와 관련해 MBK파트너스에 매년 1000억원 이상의 이자 비용을 지급한 정황에 대해서도 수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MBK가 지난 2015년 영국 테스코로부터 홈플러스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국제중재 소송 비용을 홈플러스가 대신 지급했다는 의혹도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 관계자는 언론에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해드리기 어렵다”면서도 “법 위반 사실이 드러나면 엄정하게 처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로 정산 지연 사태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공정위 측은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약속했다.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지난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현장 점검을 통해 파악한 결과 지난 1월 발생한 상거래 채무는 총 3791억 원이며, 그 중 약 87%인 3322억 원이 이미 지급된 것으로 잠정 확인된다”며 “홈플러스가 판매한 상품권 중 회생절차 개시 후 약 10억원의 소비자 환불 요청이 있었고 전액 환불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정위는 소상공인 피해 방지를 최우선으로 해 일별 대금 지급 현황 등을 매주 점검하고 대금 미지급 발생 시 지급 명령 등을 통해 적시에 조치할 것”이라며 “재발 방지를 위한 현행 대규모유통업법상 대금 지급 기한이 적정한지 검토해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부당내부거래로 공정위에서 조사할 필요가 있다’는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해 필요시 부당지원 여부를 살피겠다”고 답하기도 했다.
Copyright ⓒ 투데이코리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