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본부장은 25일 무역협회와 공동으로 '대미 무역통상 현안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자동차, 철강, 태양광, 변압기, 가전 등 대미 수출·투자 기업들과 유관 협단체 임원 10여명이 참석했으며 최근 실행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및 추가적인 관세 조치 가능성에 따른 우리 수출업계의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 기업들은 이미 실행된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추가관세와 더불어 4월2일 예정된 상호관세가 우리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해달라고 요청했으며 미국 관세로 인해 국내로 유입되는 저가 불공정 수입로부터 국내 산업 보호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정 본부장은 "외국의 불공정 무역 시도에 대해서도 우회덤핑 방지를 위한 법령 개정, 철강제품 품질검사증명서 제출 제도화 등 불공정 수입 모니터링 강화, 무역위원회 기능 강화 등을 통해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관세로 애로를 겪는 우리 기업들이 언제 어디서든 상담·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관세대응 119(국내)', '헬프데스크(해외)'를 운영하고 관세 피해 기업 대상으로는 관세바우처 제공, 무역보험 우대, 글로벌 사우스 등으로의 시장 다변화, U-턴 지원 강화 등 범부처 비상수출대책에 따른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며 "수출업계와의 상시 소통을 위해 '무역통상 현안 간담회'를 기업의 애로와 건의를 수렴하는 정례적인 소통 채널로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