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관세 정책이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경제신문은 지난 3월 22일 보도를 통해, 자동차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의 관세 인하가 미국과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약 8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응답 결과를 전했다.
미국은 3월 12일부터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2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4월 2일부터는 수입차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들이 실제 미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일본경제신문은 3월 13일부터 17일까지 경제학자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 대다수는 관세 정책이 수입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미국 내 소비와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답했다.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 국제무역학 교수는 “다른 나라의 보복성 관세로 인해 미국 수출이 하락하고,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소비 위축이 겹칠 경우 미국 경제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는 제조업의 환류를 유도하고자 관세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일본 정책연구대의 한 거시경제학 교수는 “생산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는 있어도, 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실질 소득 하락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일본 GDP가 하락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가 제기됐다. 응답자의 76%는 관세 정책이 일본의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특히 철강 및 자동차 산업 등 주요 수출 분야에 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미국 콜롬비아대 이토 교수는 “수출액 감소는 피할 수 없으며, 해당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비용 또한 상승할 수 있다. 프랑스 파리종합공대의 한 교수는 “일본처럼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복잡한 글로벌 무역 구조 속에서 관세 정책이 예기치 못한 반사이익을 가져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교토대학의 발전경제학 교수는 “미국과 유럽 간 무역이 위축될 경우, 일본의 제3국 수출이 오히려 증가할 여지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는 단순히 미국 내부의 제조업 활성화를 넘어서, 국제무역 질서와 주요 국가의 경제 구조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Copyright ⓒ 뉴스비전미디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