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정다슬 뉴욕 =김상윤 특파원]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4.7% 가까이 치솟으면서 뉴욕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마감했다. 그동안 금리 인하기라는 우호적 통화정책 속에서 인공지능(AI) 열풍으로 고공 행진하던 미국 주식시장이 ‘피크’(peak·정점)에 달한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닷컴 버블 붕괴를 예측했던 인물로 유명한 가치 투자자인 하워드 막스 회장, 전설적 투자자인 짐 로저스 등 투자 거물들은 최근 미국 증시가 과도하게 올랐다며 투자 주의를 당부했다.
◇너무 좋은 美경제, 금리 방향 바꿀까
7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42% 하락한 4만2528.36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 역시 1.11% 떨어져 5909.03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89% 급락한 1만9489.68로 마감했다.
연초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던 뉴욕증시에 찬물을 끼얹은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너무 좋은 미국 경제지표다. 이날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4.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1월의 52.1에서 2.0포인트 상승하고 시장 예상치(53.4)도 웃돈 수치다. ISM은 “서비스업 PMI가 49를 웃돌면 통상 미국 경제 전반의 확장을 가리켰다”며 “이를 고려하면 12월 서비스업 PMI는 미국 경제가 6개월 연속 확장세에 있다는 점을 가리킨다”고 설명했다.
특히 서비스업 가격 지수는 64.4로 11월의 58.2 대비 6.2포인트 급등했다. 향후 서비스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내다본 기업들이 더 많았다는 뜻이다.
여기에 미국의 고용도 예상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노동부가 공개한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작년 11월 구인 건수는 810만건으로 지난 5월(823만명)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770만 건)도 웃돌았다.
미국 경제의 견고함이 다시 한 번 데이터를 통해 입증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느려질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었다. CME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95.2%까지 치솟았다. 투자자들은 6월에나 한차례 금리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코메리카 은행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빌 애덤스는 올해 금리 인하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가 느려질 것이란 전망에 따라 뉴욕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6.9bp(1bp=0.01%포인트) 오른 4.685%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한 달간 약 0.5%포인트나 오르며 8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도 2.9bp 상승한 4.299%로 올랐다. 30년물 국채금리는 1년여 만에 처음으로 4.92%를 넘어섰다.
◇6%대까지 시야에 들어온 국채금리…주식 정점론 불붙여
|
시장에서는 단기간에 10년물 국채금리가 5%선을 다시 타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옵션 데이터에 따르면 2월 말까지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5%를 목표로 하는 신규 거래가 나왔다. ING 그룹의 글로벌 부채 및 금리 전략 책임자인 패드릭 가비는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가 올해 말 약 5.5%에서 거래될 것으로 보고 있고, 글로벌 자산운용사 티로우프라이스의 아리프 후사인 채권부문 책임자는 6%가 가능성 범위 내에 있다고 전망할 정도다.
문제는 현재 미국 증시가 역대급 상승세를 기록 중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주식시장 호황을 이끌어온 쌍두마차 중 하나였던 금리 인하 기조가 꺾이면 주식시장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로저스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이제 미국 시장 강세장의 끝이 오는 것 같다”며 “현재 미국 부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다음 약세장은 매우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CNBC에 따르면 막스 회장 역시 최근 고객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S&P500 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이 약 22배에 달했다고 알리며 “주식시장의 거품”을 지적했다. 그는 높은 밸류에이션이 단기간에 조정될 경우 2000년대 초반에 발생한 닷컴버블과 비슷한 수준의 매도세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막스 회장은 “매그니피센트7(M7) 기업들이 너무 크기 때문에 실패하기 어렵다는 시장의 암묵적인 ‘전제’가 걱정된다”며 “이러한 위험한 신념을 큰 손실을 초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은 금융시장의 또 다른 리스크다. 경제학자들은 대체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수입 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아울러 대규모 감세정책은 재정 적자폭을 키우고 국채발행 물량을 늘려서 국채가격을 더욱 떨어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날 진행된 390억달러 규모의 10년물 미국 국채 경매는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이날 발행된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4.68%로 지난달 입찰 당시 기록한 4.235% 대비 무려 44.5bp나 급등했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은 미국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날 영국 국채 30년물 금리는 5.25%까지 올라 199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영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동반한 경기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데다가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면서 투자자가 요구하는 전반적인 금리 수준이 높아진 까닭이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