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학신문 이정환 기자]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의과대학 이재선 교수 연구팀과 차종호 교수 연구팀이 최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암의 악성화 기전을 규명하고, 새로운 암 치료 가능성을 제안했다고 8일 밝혔다.
이재선 교수와 차종호 교수는 각각 노화암과 항암면역의 전문가로, 암 치료에 저항성을 갖는 노화 암세포가 항암 면역을 억제하는 보호막 역할을 해 암의 재발에 기여한다는 새로운 사실을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항암제와 방사선 등의 암 치료법은 대부분 암세포에 치명적이지만 일부 암세포의 노화를 유도한다. 노화된 암세포는 더 이상 증식하지는 않지만 염증성 환경을 만들고 암 재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공동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노화된 암세포가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을 하는 억제성 면역관문 단백질인 PD-L1의 발현을 증가시켜 면역체계로부터 암세포를 피하도록 유도하고 암세포의 생장과 전이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또한 기전 연구를 통해 노화된 암세포가 PD-L1을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PD-L1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당화 과정(단백질에 당분을 붙이는 과정·glycosylation)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노화된 암세포에서 단백질 RPN1이 PD-L1의 당화 과정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인 것도 확인했다. RPN1을 표적으로 노화된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를 통해 면역 회피가 감소하고, 세포독성 T세포의 암세포 공격이 활성화해 암의 재발이 억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
노화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암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타깃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크다. 이번 연구는 이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게재됐다.
공동 교신저자인 인하대 의과대학 이재선 교수와 차종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암 치료 후 면역억제성 암 미세환경이 제거됐음에도 남아 있는 암세포가 항암 면역을 피해 살아남는 이유를 설명하고, 암과 면역세포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됐다”며 “앞으로 노화된 암세포와 면역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면역 항암치료의 효율을 높이고, 암 악성화를 줄이는 연구를 지속해 암환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치료요법을 개발하도록 노력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한국대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