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해 알뜰폰을 떠나 통신 3사로 유입된 가입자 수는 63만2119건으로 전년 대비 45.4% 증가했다. 같은 기간 통신 3사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한 고객 수는 100만9551명으로 2023년의 123만5417명과 비교하면 18.3% 감소했다.
알뜰폰으로의 유입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지만 성장세는 둔화되고 있다. 이는 통신 3사가 정부가 2023년 내놓은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에 따라 저렴한 3만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알뜰폰 요금제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된 데 따른 결과다. 그동안 가성비를 내세워 소비자를 공략했던 알뜰폰이 통신 3사의 요금 인하 경쟁에 밀려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최근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KMVNO)를 이끌던 세종텔레콤이 알뜰폰 사업 매각을 선언하면서 업계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세종텔레콤은 알뜰폰 사업 부문에서만 지난해 약 6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적자 누적을 이유로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 세종텔레콤은 알뜰폰 시장에서 규모 있는 사업자로 분류되던 만큼 이번 매각 결정은 업계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다. 지난 2일 알뜰폰 사업자 여유모바일도 최근 홈페이지 공고를 통해 사업 종료를 공식 발표했다.
알뜰폰업계는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의 신규 가입 중단 ▲단통법 폐지에 따른 단말기 지원금 상한 폐지 ▲도매대가 사전규제의 3월 말 종료 등으로 사업 환경이 더 안좋아 질 것으로 본다.
━
단통법 폐지로 단말기 지원금 상한 없어져, 도매대가 사전규제 등 위기감 고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 3사는 LTE와 5G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요금제 출시도 논의하고 있다. 구체적인 개편안이 발표되진 않았으나 통신 3사가 요금제 통합·재편 과정에서 LTE 요금제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
LTE 요금제 인하는 알뜰폰 업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LTE 위주로 운영되는 알뜰폰 사업자들이 통신 3사에 고객을 빼앗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2024년 10월 기준 휴대폰 가입자 950만명의 93.9%(892만 명)가 LTE를 사용하고 있으며 5G 이용자는 3.9%(37만명)에 그친다.
국회의 단통법 폐지도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새로운 위협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단통법은 일부 이용자에게 과도한 지원금을 제공하는 행위를 규제하려는 취지로 도입됐지만 사업자의 경쟁을 저해하고 단말기 보조금이 축소되면서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을 증가시켰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정부는 단통법 폐지를 통해 시장에 자율경쟁 환경이 조성되면 통신 3사의 보조금 경쟁이 다시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신 3사의 마케팅 경쟁 강화로 보조금 지급이 늘면 자급제 단말기를 이용한 알뜰폰 요금제의 매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동통신 리서치 기관인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해 3월 20~64세 휴대폰 이용자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단통법이 폐지되면 알뜰폰 이용자의 48%가 "보조금이 많은 이동통신 3사로 이동하겠다"고 응답했다.
━
과기부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 이달 내 발표할 것"
━
도매대가 사후규제도 알뜰폰업계는 우려한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MNO로부터 망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MNO에 망 도매대가를 지불한다. 과거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협상력이 낮은 알뜰폰 사업자를 대신해 도매제공의무사업자와 도매대가 협상을 진행했지만, 올해 4월부터는 알뜰폰 사업자가 도매대가 협상에 직접 나서는 '사후규제' 방식으로 바뀐다.
알뜰폰업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을 요규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는 지난 2일 '2025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이달 내로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책에는 통신 3사 자회사의 합산 점유율 규제, 알뜰폰 사업자에 대한 이동통신 서비스 도매대가 인하 등의 내용이 포함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종합 대책에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될 만한 내용이 있을지는 미지수"라며 "도매대가와 관련해 구체적인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지만 정부와 통신 3사가 대폭 인하를 결정할 가능성은 낮다고 본다"고 말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