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당선인 정권 인수팀이 집권을 앞두고 '독립기관(Independent Agencies of the U.S. government)' 인사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백악관과 행정부 주요 인사는 마무리가 돼 가고 있지만 대부분의 독립기관은 아직 베일에 싸여있는 상태다. '독립기관'은 백악관과 행정부 어느 쪽에도 소속되지 않은 미국 연방 기구로 규제와 정책 등에 관해 독립성을 보장받는 행정기관이다.
독립기관은 역사 흐름에 따라 만들어졌기 때문에 하나의 성격으로 묶어 규정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례로 미국 '우정청(USPS)'이 처음에는 내각 소속이었지만 1970년 대규모 노조 파업으로 독립성을 인정받고 독립기관이 됐다. 독립기관의 경우 미국 대통령이 위원장과 위원에 대한 임명권을 가지고 있지만 해임권은 없다. 정권 교체와 함께 자연스럽게 교체되는 내각이나 행정부와 달리 독립기관장 해임을 위해서는 직무태만·부정행위 등 타당한 이유를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평화로운 권력 이양이냐 아니냐의 차이일 뿐 사실상 대통령이 마음만 먹으면 법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압박을 가하는, 소위 '먼지털기' 식으로 해임이 가능하단 것이 워싱턴 D.C. 정가의 중론이다. 트럼프 당선인 입장에서도 독립기관을 장악해야 완벽한 정권 교체가 이뤄지다 보니 취임일이 가까워질수록 기존 독립기관 수장들에 대한 압박을 높이며 신규 인사 속도를 내고 있다.
글로벌 기업 목숨 쥐락펴락하는 미국 독립기관들…주목해야 할 트럼프 시대 인물은
미국에는 총 58곳의 독립기관이 있지만 전 세계에 영향력을 미치는 핵심 기관은 15곳 정도로 한정돼 있다. 영향력과 권한이 막강한 대표적인 독립기관으로는 △중앙정보국(CIA) △국제무역위원회(USITC) △연방거래위원회(FTC) 등이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CIA 국장 등 일부 요직에 대한 인사는 끝마쳤지만 여전히 수많은 독립기관 수장 자리는 바이든 대통령이 임명한 인물들로 채워져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원한다고 해서 교체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아직까지 수장 교체가 확정되지 독립기관 중에는 '국제무역위원회(USITC)'도 포함돼 있다. USITC는 국제 무역 문제에 대해 미국 입법부와 행정부에 조언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무역 구제법'을 시행할 권한을 지니고 있는 막강한 기관이다. '무역 구제법'은 특정 물품 수입으로 인해 미국 산업이 피해를 입는다면 해당 물품을 배제할 수 있는 법안이다. 과거 미국이 중국산 철강에 대해 고관세를 매긴 것이 대표적 사례다.
현재 USITC 위원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임명한 에이미 카펠(Amy Karpel)로 임기 만료일은 2026년 6월이다. 다만 미국 현지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정식 취임한 후 임기 만료 시점까지 완주할 가능성이 낮다는 시각이 많다.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 행보에 있어 USITC는 첨병이나 다름없는 기관이기 때문에 무리를 해서라도 교체를 시도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로 이미 워싱턴에서는 차기 위원장 하마평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차기 USITC 위원장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로는 윌리엄 키미트(William Kimmitt) 전 미국 무역대표 고문이다. 과거 트럼프 당선인은 대통령 임기를 얼마 안 남기고 키미트를 USITC 위원에 앉히려 했지만 재선 실패로 무산됐다.
미국 노사관계위원회(NLRB) 수장 교체 여부도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NLRB는 불공정 노동관행을 감시 및 규제하고 노조 단체 교섭을 중재하는 독립기구다. 트럼프 당선인은 친기업을 표방하곤 있지만 자국민 우선을 내세우는 만큼 미국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들의 노조리스크에 대해서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현재 NLRB 위원장은 그윈 윌콕스(Gwynne Wilcox)로 친노조 성향이 강한 인물이 앉아 있다.
트럼프 당선인 입장에선 자국 노조와 외국 기업 노조에 다른 잣대를 들이대야 하는 만큼 코드에 부합하는 인사로 교체할 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NLRB 위원장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인물은 유진 스캘리아(Eugene Scalia) 전 노동부 장관이다. 과거 그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노동부 장관을 역임하며 노동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한 바 있다. 노동법에 대한 전문성과 노동법 개혁 경험이 있는 만큼 트럼프 당선인의 노동관을 가장 잘 반영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 수장도 교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FTC는 미국 독과점과 불공정거래를 규제·감시하는 기관으로 기업 M&A를 사전 심사하는 것은 물론 반독점법 위반 기업에 대한 소송까지 진행하는 권한을 지니고 있다. 미국의 반독점법은 기업을 해체 수준의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어 법 이행 여부를 감시하는 FTC에는 '기업의 저승사자'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는다. 현재 위원장직은 리나 칸(Lina Khan) 전 컬럼비아 로스쿨 교수가 맡고 있다.
FTC 위원장직은 트럼프 당선인 입장에서는 대기업을 길들이기 위해 반드시 측근을 앉혀야 하는 만큼 교체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이미 트럼프 당선인이 FTC 위원장으로 점찍어 놓은 인물의 이름까지 나돌고 있다. 주인공은 앤드류 퍼거슨(Andrew Ferguson) 현 FTC 위원이다. 반독점 전문 변호사이기도 한 그는 과거 로펌에서 근무할 때 반독점법 관련 소송을 수차례 경험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바닷길 규제 기관 수장도 최측근 발탁 가능성, CIA 국장엔 최측근·충성파 선임 확정
미국에는 글로벌 기업에 대해 직접적인 규제를 가할 순 없지만 간접적인 규제만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독립기관도 여럿 존재한다. 결국 이들 중 일부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수장 교체가 불가피할 것으로 점쳐진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표적이다. EPA는 미국 환경 관련 예산 책정 및 평가, 규제 등을 책임지는 기관이다. 특히 EPA는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신고를 받고 소송을 진행하며 자체적으로 평가까지 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니고 있다.
현재 EPA 청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선임한 윌리 마이클 레이건(Michael Regan)인데 그의 임기는 트럼프 행정부가 시작하는 1월 20일까지다. 차기 청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발탁한 리 젤딘(Lee Zeldin) 변호사다. 공화당 하원의원 출신이자 트럼프 탄핵 재판에서 변호사로 활약하며 트럼프 당선인과 신뢰 관계를 쌓았다. 환경과 관련된 전문성은 다소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워싱턴 정가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EPA 권력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최측근인 젤딘 변호사를 수장으로 앉힐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미국 해사연방위원회(FMC) 위원장직도 교체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FMC는 미국 해상 운송 및 상선을 감시·규제하는 기관이다. 해운법 규제 당국으로 조선 및 해운 회사에 있어서는 그야말로 '갑'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 국내 최대 해운 회사인 HMM을 관리대상 원양해운선사로 지정해 국내 해운업계를 초긴장 상태로 몰아넣기도 했다. 현재 FMC 수장은 바이든 대통령이 발탁한 댄 마페이(Dan Maffei) 위원장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 FMC의 새로운 수장으로 가장 유력한 인물로는 루이스 소라(Louis Sola) 현 FMC 위원이 꼽힌다. 그는 2019년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직접 FMC 위원에 발탁한 인물이다. 위원회 내에 유일한 공화당 인사이기도 하다. 트럼프와 똑같은 사업가 출신인 그는 오래 기간 트럼프 지지자로 활약해왔다. 지난해 대선에서도 노골적으로 트럼프 의사를 밝혀 화제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눈과 귀가 될 정보라인은 이미 교체가 진행 중이다. 대표적으로 전 세계인이 가장 주목하는 정보기관이자 독립기관인 CIA 국장에는 존 랫클리프(John Ratcliffe) 전 하원 의원이 발탁됐다. CIA는 민간 대외 정보기관으로 사실상 모든 정보를 다루는 최고 핵심 기관이다. 중요도가 높은 만큼 역대 정부에서도 대통령의 최측근들이 국장을 맡았다. 이번에 지명된 랫클리프 내정자 역시 트럼프 당선인의 최측근 인사 중 한 명이다. 그는 과거 트럼프 당선인에 대한 FBI 조사를 두고 '편파적'이라며 공개적으로 비난하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에 대한 충성도가 워낙 높다 보니 미국 민주당은 랫클리프의 CIA 국장 내정 철회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 ⓒ 르데스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