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차기 행정부 장관급 인사들을 공개하면서 그들을 도와 실질적인 업무를 주도할 차관급 인사 후보에도 큰 관심이 모이고 있다. 사실상 주요 정책의 설계는 실질적으로 차관 선에서 마무리되는데다 몇몇 자리는 장관 이상의 막대한 권한도 부여되기 때문이다. 미국 행정부 내 차관급 인사는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이 승인하면 최종 임명된다. 현재 공화당이 미국 상원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변이 없는 한 최종 임명까지 순탄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세계 기업 쥐락펴락하는 美 상무부, 사업가 출신 억만장자 장관 도울 차관 후보자 면면은
미국 행정부는 총 15개 부처로 이뤄져 있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막강한 부처를 꼽자면 단연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가 꼽힌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부의 역할과 권한을 가진 부처라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자국 우선주의'를 표방해 온 만큼 상무부 행보에 대한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에서는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 CEO 겸 정권 인수위원회 공동위원장을 지낸 하워드 루트닉(Howard Lutnick)이 장관직에 임명될 예정이다.
그러나 상무부 내 장관만큼 강력한 권한을 지닌 차관 직책은 여전히 공석이다. 그 중 하나가 국제무역 담당 차관(Under Secretary of Commerce for International Trade) 자리다. 국제무역 차관은 상무부 하위 기관이자 미국 수출입 협약과 무역 촉진 정책을 다루는 기관인 국제무역청(ITA), 무역 지원 기관인 상업서비스청(USCS) 등을 관리하는 만큼 미국의 무역 관련 업무의 실질적인 권한을 지녔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미 트럼프 당선인이 두터운 무역 장벽을 예고한 탓에 국제무역 차관의 입지는 더욱 공고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워싱턴 현지에선 차기 국제무역 담당 차관 유력후보로 제프리 게리쉬(Jeffrey Gerrish) 전 미국 무역대표부 부대표가 언급되고 있다. 게리쉬 전 부대표는 라이트하이저 전 대표와 함께 트럼프의 첫 보호무역 장벽을 설계한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2019년 중국과 무역회담에서 미국 대표단을 이끈 선봉장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줄곧 스캐든(Skadden) 국제 무역 로펌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과거 트럼프 내각에서 중국과 무역 전쟁의 주역으로 활동한 만큼 현재까진 국제무역 담당 차관으로 러브콜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게 워싱턴 정가의 중론이다.
상무부의 또 다른 요직으로는 산업보안 담당 차관(Under Secretary of Commerce for Industry and Security) 자리가 꼽힌다. 산업보안 차관은 수출규제국(OEE)와 산업보안국 진두지휘하며 미국의 핵심 기술과 제품에 대한 수출 관련 업무를 책임진다. 수출의 제한·통제 권한을 지니고 있다. 글로벌 기업 간에 기술 전쟁이 한창인 현 시점에서 미국의 기술과 전략 자산을 사실상 무기화할 수 있기에 최고 요직으로 꼽힌다. 최근 엔비디아 AI칩 중국 유출 사건 조사를 지휘하는 인물도 산업보안 차관으로 알려졌다.
산업보안 차관 자리에는 여러 후보가 거론되고 있는데 미국 정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인물은 엘리자베스 에린 월시(Elizabeth Erin Walsh) 전 상무부 국장이다. 월시 전 국장은 상무부와 국무부, 유엔 미국 대표부, 에너지부 등 여러 부처를 경험한 정부 관료다. 경제 분야뿐 아니라 외교적 실무 경험도 풍부해 미국의 수출 안보 문지기로 재격이란 평가가 나온다.
지식재산권 담당 차관(Under Secretary of Commerce for Intellectual Property)도 막강한 권한을 지닌 직책 중 하나다. 상무부 차관 직책 중 미국 현지에서 가장 관심도가 높은 지식재산권 차관은 특허와 상표 관련 법률 시행과 감시가 주요 역할이다. 미국특허청(USPTO) 수장직을 겸임하기도 한다. 인공지능과 바이오제약 등 첨단 신기술 확보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현 시점에서 사실상 지식재산권 담당 차관의 손에서 기업의 운명이 좌우된다고 봐도 무방하다는 평가다.
미국 법조계 전문 매체 LAW는 지식 재산권 차관은 IP를 통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인 만큼 트럼프 당선인이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장 유력 후보는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지식재산권 차관 직을 한차례 경험한 안드레이 이안쿠(Andrei Iancu) 전 차관이 꼽힌다. 현재 그는 민간 로펌에서 특허 전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선거기간에 민간인 신분으로 "트럼프와 밴스(부통령)가 미국을 다시 경쟁력 있게 만들 것이다"며 지지 메시지를 꾸준히 내놓은 바 있다.
미국의 돈줄 쥔 실세부터 K-기업 목줄 쥔 산업·노동 정책 설계자까지 전부 '공석'
미국 재무부(U.S Department of the Treasury)는 미국의 곳간을 책임지는 부처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기획재정부와 동일한 역할을 맡고 있다. 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부처이다 보니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막강한 편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재무부 장관에는 헤지 펀드 매니저 출신의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가 내정된 상태다. 그는 트럼프 당선인과 마찬가지로 외국 기업의 보조금 지원에 반대하는 등 미국에 국방을 제외한 모든 예산을 절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 온 인물이다.
아직까지 트럼프 행정부 2기 재무부 차관 자리는 공석인 상태다. 국내와 직접적으로 연관돼 있는 국제관계 담당 차관 또한 마찬가지다. 국제관계 담당 차관은 국제 금융, 투자, 개발, 등에 대한 경제 정책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는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 총재 등을 감시하고 통화 협력까지 조율하는 권한도 지니고 있다. 이에 워싱턴 정가에서는 국제관계 담당 차관 대신 '경제 외교관'이라 불리기도 한다.
국제관계 차관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물은 히스 타버트(Heath Tarbert) 서클(Circle) 최고법무책임자다. 경제 분야 전문성과 외교적 경험을 두루 갖춘 인재로 평가받는 그는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이미 한차례 트럼프 당선인과 호흡을 맞춰본 경험을 지녔다. 미국 상품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19년엔 잠시나마 국제관계 차관보를 맡으며 해당 직책을 경험하기도 했다. 최근 트럼프 당선인이 전직 CFTC 임원들을 재무부로 불러들이려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그의 차관 발탁 가능성에 더욱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은 최근 들어 부쩍 존재감이 커진 부처 중 하나다. 에너지부는 화석연료부터 재생에너지, 핵 에너지까지 에너지와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행한다. 생산, 소비 등 미국 내 모든 에너지 관련 활동은 에너지부의 관리·감독을 받는다. 한화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LS전선 등 미국 내에서 에너지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도 예외는 아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명한 차기 에너지부 장관은 북미에서 두 번째로 큰 리버티 에너지(Liberty Energy)의 창업주인 크리스토퍼 앨런 라이트(Chris Wright) CEO다.
에너지부에서 중요한 차관급 직책으로는 과학·혁신 담당 차관(Under Secretary for Science and Innovation)이 꼽힌다. 과학·혁신 차관은 재생·화석·핵·전기 등 모든 에너지와 신흥 기술을 관리하는 직책이다. 해당 직책의 하마평에 오른 인물로는 윌리엄 노드하우스(William Nordhaus) 전 예일대학교 환경경제학 교수가 대표적이다. 그는 그동안 줄곧 파리 기후 협약을 비판하며 환경보호를 위해서는 더 빠른 속도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에너지 규제에 반대 입장을 피력해 왔다. 트럼프 당선인 역시 후보시절부터 내내 에너지 규제에 강한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미국 노동부(U.S. Departmen of Labor)도 주목받는 부처 중 하나다. 글로벌 기업의 미국 생산기지 건립이 늘면서 현지 인력 채용도 활발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노동부 장관 후보로 로리 차베스-데레머(Lori Chavez-Deremer) 공화당 하원의원을 지목한 상태다. 반면 차관은 후보만 언급되고 있는데 그나마 가장 유력한 인물로는 파트릭 피젤라(Patrick Pizzella) 노스캐롤라이나주 파인허스트 시장이 지목된다. 이미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노동부 차관을 경험했던 그는 일찌감치 산업 성장과 고용 창출을 위해서라도 노동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꾸준히 피력해 왔다. 트럼프 당선인과 동일한 노동관이다.
Copyright ⓒ 르데스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