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조사위, 美 조사단과 나흘째 현장 조사…조류 충돌, 조종실 기록 확인
(무안=연합뉴스) 천정인 황수빈 기자 = 제주항공 참사 조사 당국은 사고 원인을 밝혀줄 핵심 열쇠로 사고기 엔진에 주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3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미국 합동조사단과 함께 나흘째 현장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사위는 사고 원인을 밝혀줄 핵심 부품으로 사고기의 엔진에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엔진은 사고기가 충돌한 로컬라이저(항행계기시설) 콘크리트 둔덕 흙더미에 파묻혀있는 상태로 알려졌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흙더미에 묻힌 엔진을 꺼내야 하지만 현장 여건상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위는 일부 흙더미에 묻히지 않거나 흙더미 사이로 보이는 부분을 맨눈으로 확인했고, 필요할 경우 삽으로 흙더미를 퍼내며 사고의 실마리를 찾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가 빨려 들어가며 엔진에 불이 붙었다는 생존 승무원의 진술 등 사고의 1차 원인이 조류 충돌로 지목되는 만큼 엔진에 남은 깃털이나 혈흔 등 조류 충돌 흔적에 대해 맨눈으로 살펴보고 있다.
조사위는 잔해 조사 등 현장 조사가 완료되면 남아있는 기체 꼬리 부분을 정해진 장소로 이동시키고, 엔진 등 중요 부품은 조사위 사무실로 가져와 조사 방식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사고 당일 현장에서 수거한 조종실 음성 기록장치는 데이터 추출에 성공해 녹취록 형태로 작성되고 있다.
이를 통해 사고 직전 조종실에서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유족들에게 이 내용을 일부 공개할지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
비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비행기록장치는 일부 부품이 파손돼 조사관 2명이 제조국인 미국으로 가져가 분석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조사위는 엔진 조사 이외에도 운항과 정비, 랜딩기어 등 분야별 전문그룹을 구성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형 참사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로컬라이저 둔덕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원인과 사고기 조종사에게 이러한 사실을 교육했는지 등도 확인한다.
사고 조사는 국제 기준과 국내 법령에 따라 모두 12단계로 구분해 실시하는데 현재는 4단계인 정보·자료수집 단계다.
이후 사고기 잔해 및 데이터 분석·시험, 보고서 초안 작성, 공청회, 국가 의견수렴, 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조사 결과를 최종 공표할 예정이다.
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기까지 최소 1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조사위 관계자는 "하나의 물건이나 하나의 이슈(쟁점)만을 가지고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없다"며 "신뢰성 있는 조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iny@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