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의 한 재건축 추진 단지 조합장은 최근 시공사 유치에 어려움을 토로하며 이 같이 말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강남 재건축은 '흥행보증수표'로 여겨져 대형 시공사들이 앞다퉈 수주 경쟁에 뛰어들었지만 불황 장기화에 분위기가 반전됐다.
조합의 선택을 받기 위해 소송마저 불사하던 시공사들은 '선별수주' 전략으로 돌아섰다. 수익성이 확실한 사업 소수만이 베팅 대상이 되고 있어 경쟁입찰이 줄고 수의계약이 늘었다. 내년에도 이 같은 분위기는 이어질 전망이다.
━
상반기 6곳, 하반기 21곳 '수의계약' 체결
━
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 주요 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의 시공사 선정에서 건설업체 1곳만 참여하거나 입찰에 나선 곳이 없어 수익계약으로 전환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3분기(7~9월) 들어 각 시공사가 막바지 정비사업 수주에 나선 곳도 있었지만 곳곳에서 경쟁입찰이 사라졌다. 내년에도 이 같은 분위기가 이어질 것이란 시각이 팽배하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라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은 경쟁입찰이 이뤄져야 한다. 입찰이 2회 이상 유찰되면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에선 두 차례를 제외하고 수의계약이 체결됐다.
상반기(1~6월)에는 총 7곳에서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이 진행됐다. 현대건설이 포스코이앤씨와 경쟁해 계약을 따낸 '여의도 한양 재건축'을 제외하면 6곳은 수의계약을 통해 시공사가 결정됐다.
수의계약을 체결한 사업장은 ▲가락 미륭아파트 재건축(포스코이앤씨) ▲노량진1구역 재개발(포스코이앤씨) ▲신반포한신12차 재건축(롯데건설) ▲가락삼익맨숀 재건축(현대건설) ▲신반포한신27차 재건축(SK에코플랜트) ▲천호우성 재건축(롯데건설)이다.
하반기에는 22개 정비사업의 시공사가 결정됐다. 경쟁입찰은 DL이앤씨가 두산건설과 경쟁해 시공권을 획득한 도곡 개포한신 재건축이 유일했다. 21곳은 수의계약을 통해 시공사가 결정됐다. 오는 28일 예정된 용산 산호아파트 재건축도 롯데건설의 수의계약이 임박했다.
━
강남·용산 등 한강변도 시큰둥
━
상반기에 시공사가 선정된 7곳은 모두 한강과 인접하거나 강남3구(강남·사초·송파)에 속한다. 강남3구 정비사업은 분양 흥행이 보장되고 사업성이 커 시공사의 수익성이 담보되지만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이마저도 주저하는 곳이 많다.
하반기에 시공사가 확정된 1곳의 경쟁입찰 사업지와 22곳의 수의계약 사업지(28일 예정 포함) 가운데 강남3구 등 한강변에 속한 곳은 13개다.
공사비 1조원 이상의 대형 사업지도 유찰을 피하지 못했다. 공사비 1조7854억원의 용산구 한남5구역은 DL이앤씨만 단독입찰해 1회 유찰됐다. 1조2831억원 규모의 서초구 신반포2차는 현대건설만 단독입찰 해 2회 유찰된 끝에 수의계약을 체결했다.
건설업계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원/달러 환율마저 오르면서 내년에도 선별수주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과거 같은 정비사업 수주 경쟁을 기대하기 힘든 건 대내외 경제 불황이 심화되고 갈수록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어 "대형 건설업체들도 원가 부담이 커져 한강변 랜드마크 사업지라도 계산기를 두드리게 된다"며 "내년에도 수의계약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합 입장에선 아쉬움을 토로한다. 강남권의 한 정비사업 조합 관계자는 "3.3㎡당 900만원대의 높은 공사비에도 유찰이 거듭돼 사업 운신의 폭이 좁아졌다"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져 시공사의 협상 주도권이 더 강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