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정헌 의원(광진구 갑)이 입수한 ‘비상계엄 당시 주요 포털 사이트 서비스 장애 현황’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는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오후 10시 28분) 7분 뒤인 10시 35분부터 장애를 빚기 시작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이로부터 2분 뒤인 10시 37분 상황 지시를 통해 재난 대응체계를 가동했지만, 포털 서비스 접속 장애는 막지 못했다.
10시 54분부터는 네이버 카페(모바일) 장애가 시작됐고, 11시 22분부터는 다음 카페도 접속이 지연됐다. 서비스 장애가 카페에만 한정됐다는 카카오 측 설명과 달리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다음 뉴스 댓글 서비스도 마비됐다는 경험담이 속출했다. 포털 서비스 장애는 4일 오전 1시 16분이 돼서야 정상화됐다.
비상계엄 당시 무장 계엄군이 국회의사당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포위하는 상황에서 포털 뉴스·카페 기능이 마비되자 일부 시민은 이 같은 현상이 계엄 계획의 일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정부가 여론 결집을 막기 위해 인위적으로 뉴스 댓글 서비스 등을 중단시킨 것이라는 주장이 퍼지기도 했다.
양대 포털인 네이버·다음의 접속 지연 사태는 순식간에 폭증한 트래픽 때문으로 분석된다 . 네이버 뉴스의 계엄 당일 트래픽은 평소 최고치 대비 1320%, 카페 트래픽은 450% 수준으로 급증했다 .
이로 인해 뉴스 댓글 접속 지연이 발생하자 네이버는 전면 장애를 방지하기 위해 댓글 작성·공감 기능을 중단했다. 카페도 접속 지연 현상이 발생하자 게시글 작성을 막았다. 카카오는 긴급 서버와 인력을 투입해 접속 지연을 해소했다 .
네이버는 일부 기능을 중단하는 조치가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서비스 일부 기능의 부하가 전체 데이터베이스(DB)로 전이되는 상황이었고,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단 해당 기능을 중단한 뒤 DB 부하 해소를 통해 서비스를 복구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반면 카카오는 “순간적인 트래픽 증가에 따른 지연이 발생했다”며 당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 네이버와 달리 트래픽이 언제 얼마나 왜 증가했는지에 대해 “기업의 경영·보안상 기밀로 공개가 어렵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
이정헌 의원은 “우리 사회의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는 국내 포털이 계엄으로 일시 정지된 중대한 사안”이라며 “주무 부처인 과기부와 관련 포털 기업은 책임 있고 투명한 설명으로 국민 불안을 해소할 책무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네이버가 계엄의 밤 당시 트래픽 수치 등 서비스 장애 규모와 대응책을 상세히 설명한 것과 달리, 카카오는 국회의 자료 제출 요구에 불성실하게 응하고 있다”라며 “과기부는 대응체계를 가동했음에도 포털 장애를 막지 못한 것과 관련해 확고한 대책을 마련하라”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