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2021년 말 56%→올해 3분기 말 61.9%), 고정금리(29.4%→45.3%), 분할 상환(31.8%→39.3%)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25.1%→41.0%),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18.5%→20.0%) 비중도 커졌다. 저소득자(하위 20%)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235.1%)을 크게 웃도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다.
기본 시나리오는 '경제성장률 1.8%·실업률 2.7%·주택가격 전년동기대비 0.9% 상승' 조건이고 악화·심각 시나리오에서는 성장률이 각 1.1%, -0.5%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3.0%, 3.6%로 뛰며 주택가격은 1.7%, 5.4% 뒷걸음치는 것으로 설정됐다.
악화·심각 시나리오에서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다. 2023년 연체 가구 비율(2.5%)보다 각 1.6%포인트, 2.6%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급등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변동금리·비은행·기타 대출(신용대출 등) 보유 가구가 고정금리·은행·주택담보대출 보유 가구보다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위험 요소를 지적했다.
하지만 경제 타격에 연체 가구가 늘더라도 은행·비은행의 자본 비율은 여전히 규제 수준을 여전히 웃돌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연체 가구 증가가 금융 시스템 리스크(위험)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Copyright ⓒ 아주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