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칩스법’ 1차 관문 넘은 삼성·SK하닉···트럼프 2기 불확실성은 여전

‘칩스법’ 1차 관문 넘은 삼성·SK하닉···트럼프 2기 불확실성은 여전

이뉴스투데이 2024-12-24 08:00:00 신고

3줄요약
[그래픽=고선호 기자]
[그래픽=고선호 기자]

[이뉴스투데이 고선호 기자] 삼성전자가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를 상대로 SK하이닉스에 이어 자국 내 반도체 설비 투자 관련 보조금 지원 확약을 받아내면서 현지 생산라인 조성을 위한 7부 능선을 넘었다.

다만 예상 범위를 넘어선 보조금 규모의 감소 폭을 비롯해 실질 지급 시기가 향후 다가올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체제에서 이뤄질 것이라는 점 때문에 불확실성 리스크는 여전한 상태다.

2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미 상무부가 성명을 통해 삼성전자의 미 테일러 반도체 투자에 대해 47억4500만 달러(한화 약 6조9000억원)의 직접 보조금(칩스법)을 지급하는 계약을 최종 체결했다.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 전영현 부회장은 “미국에서의 반도체 제조에서만 30년 가까이 경험을 쌓아온 삼성전자는 미국 파트너 및 고객은 물론 텍사스 전역의 지역사회와 오랜 기간 동안 구축해 온 관계를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칩스법 수혜 여부를 못 박았다.

전 부회장은 이어 “미국 정부와 체결한 반도체법에 따른 계약은 미국에 최첨단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또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면서 “다가오는 AI 주도 시대의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미국 파트너들과 더 많은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칩스법 보조금을 통해 삼성전자는 오는 2026년 가동 목표인 미국 테일러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 건설에 속도를 내고, SK하이닉스도 인디애나주 인공지능(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 반도체 패키징 공장 설립에 박차를 가해 HBM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확정된 보조금 액수는 당초 지난 4월 예비거래각서(PMT) 당시 발표한 보조금 규모인 64억 달러 대비 약 17억원, 한화로 3조에 달하는 금액이 줄었다. 이는 삼성전자의 투자 계획이 일부 변경된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미국에 총 44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하고 64억 달러의 보조금을 받는 예비거래각서를 맺고 미국 정부와 협상해 왔으나, 최종 협상 과정에서 최종 투자 규모를 ‘370억 달러 이상’ 수준으로 낮춘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이번 미 상무부와의 협상을 토대로 첨단 미세 공정 개발,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 건설, 고객 유치 등에 전력해 2026년 테일러 공장 가동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 착공한 테일러 공장은 올해 하반기 가동이 목표였으나, 속도 조절에 나서면서 현재는 가동 시점이 2026년으로 미뤄진 상태다.

삼성전자는 테일러 공장에 최첨단 로직 생산 라인과 연구개발 라인을 건설하고, 이를 통해 테일러 공장을 미국 내 첨단 미세공정 구현 및 연구개발 중심지로 육성할 예정이다. 파운드리사업부 내에서도 테일러 공장에 대한 중요성이 꾸준히 부각되는 분위기다.

SK하이닉스도 삼성전자보다 한 발 앞서 미 당국과 보조금 지급 여부를 확정지었다.

SK하이닉스는 미국으로부터 4억5800만 달러(약 6640억원)의 직접 보조금과 정부 대출 5억달러(약 7247억원)를 지원하는 최종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예비거래각서를 통해 밝힌 보조금 규모인 4억5000만 달러를 소폭 웃도는 금액이다.

SK하이닉스는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에 HBM 패키징 공장을 신규 건설 중이다. 이번 보조금 지급 확정에 따라 2028년 하반기부터 미국 현지 공장에서 차세대 HBM 등 AI 메모리 반도체 제품을 양산할 예정이다.

[그래픽=고선호 기자]
[그래픽=고선호 기자]

양사가 칩스법 지원 여부를 확정하면서 일부 불확실성 우려를 잠재웠지만, 트럼프 당선을 기점으로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를 비롯 정부 기조 변화 등 이른바 ‘트럼프 리스크’ 자체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칩스법 관련 보조금 지급 사항에 대해 대선 전부터 줄곧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던 터라 기업들의 불안감이 증폭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무엇보다 보조금 실제 지급 시기가 내년 1월부터 돌입하는 트럼프 행정부 임기 중 이뤄질 예정이어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방향성 설정에 따라 추가적인 문제가 발현될 수도 있다는 게 업계의 우려다.

물론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의 지지를 받아 통과된 법안인 만큼 이미 시작된 보조금 지급 절차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급진적 정치성향과 관세 위주의 대외 정책 방향성 등을 감안했을 때 보조금 지급 규모를 줄이거나 지연시킬 수도 있다는 관측도 상존한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불어 닥칠 막대한 관세부담에 더해 현지 중국 내 생산시설을 운영 중이거나 관련 기업들과 거래를 이어오고 있는 국내 업계 입장에선 미국의 공급망 압박에 자유로울 수 없다. 이를 해소할 대안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오는 이유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가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반도체법으로 지급하는 보조금을 뒤집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며 “다만 현재 예고한 높은 관세 부과나 미국 현지에 투자를 늘리라는 압박은 더 세질 수 있어 기업들은 향후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이어 “국내의 혼란한 정치 상황도 업계엔 좋지 못한 시그널이 될 수 있다. 현재 문제가 비화하고 있는 탄핵정국을 빌미로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이뉴스투데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