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압박으로 은행들이 소상공인과 기업 지원에 나서면서, 은행장급 인사들 사이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 은행장은 정부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왜 정부 일을 은행이 하냐, 원칙이 없다"는 의견을 피력하며, 은행이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게 부당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은행이 더 많은 금융 지원을 해야 한다는 요구가 과도하다는 불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이러한 지원이 실물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와는 별개로, 금융 기관들에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 관계자는 "많은 기업들이 어려운 상황속에서 은행이 대출을 늘려야 한다는 압박을 받게 되면, 결국 은행의 재정 건전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정부가 기업금융 확대를 강조하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의 취지와 반대되는 요구를 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로 지적되었습니다.
또한, 정부가 '상생금융'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면서 은행의 역할이 지나치게 확대되었다는 비판도 상당합니다. 은행들은 원활한 대출 심사 및 리스크 관리 체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 상황의 악화가 겹쳐 더 큰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시행될지, 그리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국, 정부와 금융당국이 원하는 '상생'의 개념이 실제로 은행의 경영과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투자자들, 특히 해외 투자자들이 국내 금융사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은 앞으로도 은행업계의 성과와 금융정책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고민해야 할 필요성을 나타냅니다.
Copyright ⓒ 경기연합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