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전년대비 1개사 감소한 23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했다.
대기업은 11개사, 중소기업은 219개사다. 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면 대기업, 500억 미만이면 중소기업으로 분류된다. C등급은 전년대비 18개 줄어든 100개사, D등급은 17개사 증가한 130개사로 나타났다.
부실징후기업은 2020년 157개사, 2021년 160개사, 2022년 185개사로 증가세를 보이며 지난해 231개사로 앞자리 숫자를 바꿨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 원가상승 및 고금리 장기화 등에 따라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된 점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기업을 뜻한다.
올해 부실징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이 30개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 21개사 ▲고무·플라스틱 18개사 ▲기계·장비 18개사 ▲도매·상품중개 14개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해 부동산업(+8개사), 자동차업(+4개사), 전문직별 공사업(+4개사) 등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다만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크지 않아 국내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는 올해 9월 말 기준 1조9000억원으로 전체 은행권 신용공여의 0.07% 수준이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전체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도 3조8000억원에 그친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2069억원으로 추정됐다. 9월말 국내은행의 BIS 총자본비율은 15.85%로 충당금 추가 적립액을 반영시 BIS 비율 변화폭은 -0.02%포인트로 미미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이나 회생 등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필요시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금융비용 상승 등으로 일시적 금융애로를 겪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극복을 지원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영위기에 빠진 중소기업은 유관기관 지원을 폭넓게 받을 수 있게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하고 공동 금융지원도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