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건강] 심장질환 사망률, 부산이 서울보다 50% 높은 이유는

[위클리 건강] 심장질환 사망률, 부산이 서울보다 50% 높은 이유는

연합뉴스 2024-12-21 07:00:01 신고

3줄요약

작년 인구 10만명당 심장질환 사망률 서울 23.5명 vs 부산 35.5명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배 차…만성질환·생활습관도 차이"

가슴 통증 (PG) 가슴 통증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심장질환은 암에 이어 우리나라 사망 원인 2위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26.1명(연령표준화 사망률)이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 등 심장질환으로 숨졌다.

심장질환 사망률은 지역별로 격차가 꽤 크다.

지난해 17개 시도 중 인구 대비 심장질환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울산(10만 명당 36.1명)으로, 가장 낮은 대전(18.9명)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서울(23.5명)과 부산(35.5명)만 비교해봐도, 부산이 서울보다 50% 이상 사망률이 높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 것일까.

오창모 경희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난 19일 질병관리청이 개최한 '건강한 사회 포럼'에서 '지역 간 건강수준 격차 추이 및 활용도 제고 방안'에 대해 발표하면서 부산과 서울의 심장질환 사망률 격차를 분석했다.

고사리손으로 배우는 심폐소생술 고사리손으로 배우는 심폐소생술

(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4일 오전 대구 남구 구민체육광장에서 열린 '어린이 안전 캠프'에서 어린이들이 심폐소생술(CPR)을 배우고 있다. 2024.9.4 psik@yna.co.kr

오 교수는 우선 심장질환 발생 이후 대응 과정에서의 차이를 살펴봤는데, 심근경색증 조기증상 인지율은 서울은 48.4%, 부산이 56.3%(질병청 지역사회건강조사)로, 오히려 부산이 높았다.

심근경색 발생 2시간 이내에 응급실에 도착한 환자의 비율은 서울 35.4%, 부산 36.8%로 역시 미세하게 부산이 앞섰다.

유일하게 두드러진 차이는 심정지 환자에 대한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로, 서울(44.9%)이 부산(20%)보다 2배 이상 월등히 높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에게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이 1.7배 높아진다는 통계도 있는 만큼, 두 지역의 심폐소생술 시행률 차이가 사망률 차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는 심장질환 발생률 자체에서부터 차이가 있었다.

오 교수에 따르면 2013∼2021년 질병청 심뇌혈관 발생 통계에서 줄곧 부산이 서울보다 심근경색 발생률이 높았다. 2021년 기준 부산은 10만 명당 40.1명, 서울은 34.7명이었다.

응급실로 이송되는 환자 응급실로 이송되는 환자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의정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2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의료센터로 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2024.12.2 ksm7976@yna.co.kr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는 당뇨병 유병률(30세 이상)과 비만율도 지난해 부산이 각각 8.7%, 32.1%로, 서울의 8.5%, 28.8%보다 높았다.

현재 흡연율(부산 18.8%, 서울 17.9%)과 고위험 음주율(부산 12.6%, 서울 11.2%)도 부산이 더 높은 반면 중강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부산 24.4%, 서울 26.2%), 걷기 실천율(부산 64.3%, 서울 53.2%)은 서울이 앞섰다.

결국 두 지역 시민 생활습관 등의 차이가 심장질환 발생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온 데다 일반인 심폐소생률 실시율의 차이가 사망률 격차를 더 벌렸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오 교수는 이 같은 격차 해소를 위해 "부산에서 실습을 동반한 심폐소생술 교육과 홍보가 더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심장질환 선행질환인 당뇨병, 비만 등 유병률을 낮추고 금연, 금주, 걷기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도 강조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오 교수는 진료가 필요함에도 받지 못한 인구의 비율인 미충족 의료율이 부산에서 더 높게 나타난 점도 언급하며 "심장질환 환자들의 병의원 접근성 저하와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mihye@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