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취재에 따르면 여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체포명단을 받았다고 진술했다. 그러면서 해당 명단에 포함된 인물들은 윤 대통령이 사석에서 문제 있다고 말하던 이들이었다고 밝혔다. 체포명단 작성에 윤 대통령이 관여했을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증언인 셈이다.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은 지난 6일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여 사령관이 비상계엄 선포 직후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등 주요 정치인 10여 명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요청했다고 밝혔다. 셋은 계엄 해제 전 국회 본회의를 준비하던 중 김 전 장관의 우선 체포 지시를 받은 인물들로 알려졌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여 사령관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며 체포 대상자 명단에 우 의장을 포함한 정치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 김명수 전 대법원장 등 14명의 이름을 적시했다. 이는 당시 계엄령의 정치적 목적과 체계적인 계획을 의심케 하는 정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여 사령관은 검찰 조사에서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월부터 “어려운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비상대권 조치를 고려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말을 했다고 진술했다. 또한 지난 11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비상계엄 선포 의사를 김 전 장관에게 직접 밝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여 사령관의 증언은 윤 대통령의 계엄 명령이 단순한 위기 대응을 넘어 체계적이고 의도적으로 준비된 조치였음을 시사한다.
여 사령관은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의 계엄 논의에 반복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계엄은 전시에나 가능한 조치이며, 평시에는 불가능하다. 현재 군인들은 민간인 상대 작전을 훈련받은 적이 없고, 이런 명령이 내려오더라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을 여러 차례 전달했다고 진술했다.
그러나 지난 3일 윤 대통령이 실제로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여 사령관은 명령에 따랐다. 이후 윤 대통령은 여 사령관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당시 상황을 확인했다고 한다. 반면 계엄 선포 직전에는 윤 대통령으로부터 별다른 연락을 받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