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재호 AI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 2일 첫 워크숍에서 "인공지능 분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민관이 협력하여 범국가적인 역량을 결집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을 재설계하고 인공지능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구심점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9월 출범한 AI위원회는 AI 정책 전반을 심의·조정하는 최상위 거버넌스 기구다. AI위원회는 윤석열 대통령 직무정지 이전에 ▲기술·혁신 분과 ▲산업·공공 분과 ▲인재·인프라 분과 ▲법·제도 분과 ▲안전·신뢰 분과 등 5개 분과 체계를 마무리한 상태다.
위원회 분과와 특별위원회 회의 지원, 정책과제 발굴 등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게 될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도 이달 내 출범을 꿈꿨지만 대통령의 궐위로 일정이 불투명해졌다는 평가다.
실질적 운영을 담당하는 염 부위원장은 정치권 혼란 속에서도 AI 백년대계를 그리겠다는 입장이지만 대통령의 정책적 뒷받침과 조율이 부재한 상황에서 위원회의 효율성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AI위원회는 3년 내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해 내년 1분기 중 국가 AI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목표다.
AI위원회에서 밀려난 네이버에겐 기회가 될 수 있다. AI 위원회는 염 부위원장을 필두로 인공지능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위원과 주요 부처의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간사)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 45명으로 꾸려졌다.
민간위원으로는 ▲고진 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 ▲김영섭 KT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배경훈 LG AI연구원장 등이 있다.
국내 AI 대표기업들이 총망라했지만 네이버는 배제됐다. 민간 투자액만 65조원을 외친 정부가 국내 AI 데이터 선두주자인 네이버를 제치고 정신아 카카오 대표만 위촉한 것이다. 예비 조직 'AI전략최고위협의회'(최고협의회)에선 최수연 대표가 민간위원으로 활약한 점을 감안하면 의아스럽다는 시각이 많았다.
최 대표가 아니더라도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포함됐어야 하지 않냐는 것이다. 하정우 센터장이 AI 관련 더불어민주당 행사에 자주 참석하는 등 야권과 친밀한 행보를 보였다는 게 배경으로 꼽힌다. 네이버 부사장 출신 윤영찬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있었던 까닭에 여권보다 상대적으로 긴밀했다는 분석도 힘을 보탠다.
하지만 위원회가 정책적 공백기를 맞게 되면서 정치권과의 불화설로 힘겨운 네이버로선 숨통이 트였다는 평가다. 현재 네이버는 분과위원회에 포함되기 위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향후 연결 고리를 확보해 입지를 되찾는 전략을 펼칠 가능성이 크다.
IT업계 관계자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대통령이 챙기는 조직인데 현 상황에서 예산 배정이 후순위로 밀릴 공산이 크다"며 "원래 계획한 것보다 가시밭길을 가야 하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동안 움츠리던 네이버는 조심스럽게 기회를 엿볼 시간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Copyright ⓒ 머니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