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도시 부산] ④ AI 로봇이 폐기물 선별…자원순환 선도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기후도시 부산] ④ AI 로봇이 폐기물 선별…자원순환 선도

연합뉴스 2024-12-15 07:01:01 신고

3줄요약

폐기물 연료화,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 생산 시설 집적화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 이주지역 복합타운 2031년 준공

[※ 편집자 주 = 글로벌 허브도시를 표방하는 부산시는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중립도시'를 비전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친환경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부산시의 전략과 정책을 점검하는 '기후도시 부산' 기획 기사를 5차례에 걸쳐 송고합니다.]

부산 자원순환 단지 조감도 부산 자원순환 단지 조감도

[부산시 제공]

(부산=연합뉴스) 조정호 기자 = 인구가 증가하고 경제발전으로 인해 대도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체와 가정에서 나오는 폐기물은 다양한 형태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하면 메탄을 방출한다. 메탄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CO)보다 20배 이상 강력한 온실효과를 가져온다.

폐기물을 소각하면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등 온실가스가 발생한다.

폐기물 관리는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폐기물 재활용, 에너지 회수 등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고 순환경제를 구축하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부산시는 2030년까지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798.19천tCO2eq로 2018년 대비 22%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15일 밝혔다.

부산 강서구 생곡마을에는 대규모 폐기물 자원화단지가 운영 중이다.

이곳에는 생활폐기물에서 가연성 물질을 분리해 연료화(SRF)하고 전기를 생산하는 시설(폐기물연료화시설), 플라스틱과 캔, 종이 등을 선별하는 자원재활용센터, 음식물을 자원화하는 시설, 폐가전에서 플라스틱과 비철류를 회수하는 시설, 하수슬러지 건조시설 등 폐기물 처리시설이 몰려 있다.

생곡마을 주민이 강서구 명지주거단지에 이주하면, 부산시는 3천376억원을 들여 시내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해 전기와 열에너지를 회수하는 '자원순환 복합타운'을 2031년 완공 목표로 조성한다.

부산시 바이오가스화 생산시설 조감도 부산시 바이오가스화 생산시설 조감도

[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부산시는 음식물쓰레기를 100% 공공에서 처리하면서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예정이다.

생곡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 처리용량을 하루 200t으로 증설하고 수영하수병합처리시설을 현대화해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화를 확대한다.

시는 강서구 생곡동 일원 1만6천298㎡에 총사업비 677억원을 들여 하루 250t 규모 음식 폐기물을 처리하는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시설'을 지난 4월 착공, 2026년 말까지 완공한다.

바이오가스인 메탄에서 수소를 추출하고 수소충전소도 운영할 계획이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양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해 전파 식별(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감량기를 2023년 87대에서 2030년 820대로 확대 보급한다. RFID 기반 감량기는 생물학적처리를 통해 악취없이 80% 감량후 퇴비화하는 시설로 음식물쓰레기 배출 감량 효과가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 자원화하는 '자원순환(post-플라스틱) 클러스터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와 부산시 탄소중립 전략으로 기획된 '자원순환 클러스터'는 폐플라스틱 재활용과 관련된 기술 연구개발(R&D), 실증·실험시설, 신기술 검인증, 사업화 지원 등을 지원하는 복합시설이다.

부산시 자원순환 클러스터 개념도 부산시 자원순환 클러스터 개념도

[부산연구원 제공]

부산 강서구 국제산업물류산업단지에 조정되는 자원순환 클러스터에는 산학연이 참가해 에코델타시티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수거·운반하고 인공지능(AI) 기반 로봇이 선별해 재활용하는 모든 과정을 빅데이터로 저장·관리한다.

이곳에서는 버려진 페트병(Bottle)을 페트병으로 화학적 재활용하는 'B to B' 기술실증, 폐플라스틱에서 원유와 나프타 원료로 전환하는 'P to P' 기술실증, 고온 열분해 가스화 실증, 해양폐플라스틱 재활용, 생분해(바이오) 플라스틱 생산, 창업 지원 등 자원순환 전 과정을 지원한다.

시는 자원순환 클러스터와 생곡 자원순환 특화단지를 연계하고 순환경제 산업단지를 연계해 자원순환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부산시는 "자원순환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부·울·경 광역경제권을 활용해 플라스틱 원료 생산과 폐기물 처리 후 원료로 재투입되는 플라스틱 자원순환 산업생태계가 구축된다"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탄소중립 사회 조기 실현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부산시의 자원순환 사업에서 탄소 감축이 아니라 탄소 배출을 제로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설비가 보강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CCUS가 필요하지만, 현재 기술로는 탄소를 포집하는 장비와 운영비가 많이 들어 경제성 문제로 아직은 폐기물 자원화단지에 CCUS를 적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산 자원순환 클러스트 위치도 부산 자원순환 클러스트 위치도

[부산시 제공]

평상시 자원순환 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기후위기와 자연재난으로 인해 폐기물을 급증할 때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최윤찬 부산연구원 탄소중립센터 박사는 "최근 기후위기로 태풍, 자연재난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엄청난 폐기물이 발생하거나, 코로나 등 비상시국에서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대처에 어려움을 겪었던 사례가 있었다"며 "어떤 위기가 닥치더라도 안정적인 처리 기반을 가지는 것이 부산시 자원순환 정책 방향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ccho@yna.co.kr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