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의약품은 필수 소비재로 분류된다. 경기나 업황을 타지 않기 때문에 불황에 강한 산업군으로 꼽힌다. 지난 2016~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동안에도 제약·바이오산업은 호황기를 누렸다.
앞서 한미약품이 2015년 한 해 8조원대에 달하는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영향으로 국내 제약시장에 바이오 붐이 일었고, 기존 합성의약품 복제약(제네릭 의약품) 중심 사업구조에 변화가 일며 신약개발 투자가 늘었다.
삼성, SK, CJ, LG 등 충분한 자금력을 보유한 국내 대기업들도 제약·바이오산업에 진출, 투자를 확대했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제품들은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며 존재감을 키웠으며, 제약사들 또한 내수시장 성장 둔화에도 안정적인 실적을 내며 성장세를 보였다.
오히려 2019년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 사태, 신라젠의 '펙사벡' 임상실패 및 경영진 횡령·배임 혐의에 따른 거래정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와 같은 개별 기업들의 이슈가 제약·바이오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산업에 대한 떨어진 신뢰도는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다가 이듬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새 국면을 맞았다.
이번 사태도 제약·바이오 산업 전체에 끼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경제 상황과 무관하게 의약품 수요는 꾸준히 존재하고, 신약개발 기술이 훼손되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기술력만 있다면 충분히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럼에도 업계는 탄핵 정국이 빠르게 안정되지 않을 경우 제약바이오업계도 적잖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말한다.
우선 불안정한 국내 정세는 'K-제약바이오'라는 브랜드 명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국가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져 기업 이미지와 가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특히 신약개발을 위해선 자금조달이 필수적인데, 경제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이미 긴 보릿고개를 넘고 있는 작은 바이오벤처들은 회사의 존폐를 고민할 수밖에 없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상임부회장은 "불안해지면 모험적인 투자를 하지 않기 때문에 투자 환경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달러 강세가 지속되는 점도 기업들의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국내 제약업계는 원부자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비용 부담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의약품은 원가 압박에도 약가를 함부로 올릴 수 없기 때문에 수익성 악화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2022년 기준 국내 원료의약품 자급도는 11.9%에 불과하다.
수출 매출이 높아 강달러 수혜를 받는 바이오시밀러 기업들도 부담을 피해갈 순 없다. 레진, 배지 등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에 필요한 핵심 바이오 원부자재 또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 시장은 소수의 글로벌 기업이 이끌고 있다.
제약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많은 기업이 수개월 치 원료를 미리 확보해 놓는다. 때문에 단기적으로 의약품 생산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환율이 잡히지 않으면 힘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도 "강달러는 큰 회사, 작은 회사 모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고환율 수혜를 받아 돈을 버는 회사는 일부일테지만 임상시험을 하고 원부자재를 수입하는 회사들에겐 전반적으로 안 좋을 것"이라며 "그렇지 않아도 임상환자 리쿠르트, CRO 등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작은 기업들은 더 힘들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후폭풍이 국정동력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실제 대통령 직속 기구인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도 무기한 미뤄졌다.
윤 대통령은 후보시절부터 미래 먹거리로 제약·바이오산업을 점찍으며 산업 육성을 약속해왔다. 대통령은 정부 출범 2년 차인 지난해 말 국무총리실 산하로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설치했고,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 정책을 다루기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를 출범시키겠다고 예고했다. 특히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힘을 실어주기로 하며 업계의 기대감을 모았다.
하지만 정상적인 국정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위원회의 출범은 고사하고 정부가 추진하던 국정 과제의 동력도 힘을 받지 못할 위기에 놓였다.
과거 박근혜 정부 때에도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보였지만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추진력을 잃었고,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
Copyright ⓒ 뉴스웨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