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심융합특구 구상도. 제공은 대전시 |
26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시는 8일 도심융합특구 지정 및 기본계획을 국토교통부로부터 승인받았다. 도심융합특구는 지역 거점에 산업, 주거, 문화 등 복합혁신공간을 조성하여 기업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미래형 도시 모델이다. 이번에 승인 받은 도심융합특구 위치는 KTX 대전 역세권과 옛 충남도청을 포함한 선화동 일원으로 두 지역을 잇는 중앙로까지 134만㎡(약 40만 평) 규모이다. 도심융합특구 내에서는 도시·건축규제가 완화되어 고밀도 복합 개발이 가능하고, 국공유지 사용료·부담금 감면 등의 이점이 있다. 기본계획을 살펴보면 첫째, 우수한 광역 교통 인프라를 가진 KTX 대전 역세권을 집중 육성해 대전시의 R&D 산업의 확산과 UAM 등 환승체계를 구축한다. 둘째, 옛 충남도청과 중앙로 일원을 청년들의 창업·문화 거점으로 조성하고 국·공유지를 활용한 기관과 기업 유치를 추진 계획이다. 시는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주요 사업을 우선하여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최우선 과제로 메가 충청 스퀘어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지하7층~지상49층 규모로 컨벤션·상업·주거·호텔 등 고밀 복합시설을 2030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현재 민간사업자 공모를 준비 중으로, 특구 지정으로 각종 특례가 가능해짐에 따라 민간 참여가 더욱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또한 글로벌 문화 콘텐츠인'0시 축제'와 도심융합특구를 연계하여, 중앙로를 축제와 상징의 거리로 조성하고 세계적 문화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3월 6일 대전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기자회견에서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있는 이장우 대전시장.사진제공은 대전시 |
대전시는 정부가 추진하는 철도지하화 선도사업에 대전역과 대전조차장 부지를 대상으로 통합개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역 선로 부지(12만㎡)는 살리 철도 위에 데크를 올려 상부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고, 조차장역은 대체 용지로 이전한 뒤 기존 부지(38만㎡)를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이들 사업 추진을 위해선 경제 회복이 중요하다. 민간 사업자를 통한 사업들이다보니 부동산 경기 하락 등 경제 여건에 예민할 수 밖에 없다.
특히 공공기관 2차 이전이 폭발적인 시너지를 줄 수 있을 전망이다.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가 대전시 혁신지구로 2020년 지정됐다. 연축지구의 경우에는 대덕특구 등과 연계, 과학기술 혁신클러스터 조성이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과학기술 공공기관 및 연계기업과 바이오·국방·나노반도체·우주항공등 4대 미래전략과 융합,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 추진에도 탄력이 예상된다. 또 역세권지구의 경우에는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대전도시철도역, 복합환승센터 등 교통의 중심지로 철도교통 혁신클러스터 조성이 핵심이다. 정부가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미루고 있는 상황이지만, 대전시는 유치를 위한 물밑 작업을 하고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원도심재생 사업들을 통해 대전역 중심의 기존 도심을 다시금 활력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단순히 경제적 재활성화를 넘어 지역문화를 발굴하고 성장시켜 지속가능한 동력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Copyright ⓒ 중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