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때 북한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한 이유 

6.25때 북한군이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한 이유 

정치9단 2024-11-17 17:10:56 신고

17318310514331.jpeg

17318310515814.jpeg


1950년 6월 25일. 전쟁이 발발한 이후 북한군은 파죽지세로 모든 지역을 1달만에 다 점령하고 낙동강까지 진격했음.

1950년 8월 15일. 임시 수도인 대구에서 광복절 기념식을 하고 2일만에 수도를 부산으로 옮긴 한국 정부.









17318310517613.jpeg

17318310519382.jpeg

17318310520992.jpeg

17318310522624.jpeg

17318310524153.jpeg


당시 북한 종군작가였던 김사량에 기록에 따르면 북한군의 한반도 적화통일이 코 앞이었고, 단 1승만을 남겨두고 있었음.















17318310525509.jpeg

17318310527035.jpeg


한국 군과 미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혈투를 펼치고 있었지만, 어느 한 곳이라도 뚫린다면 사실상 전쟁이 끝나는 상황이었음.











17318310528299.jpeg

하지만,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왔던 북한군은 1달이 넘도록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함.












17318310529817.jpeg

17318310531158.jpeg

17318310532562.jpeg

17318310533903.jpeg

17318310535226.jpeg

17318310536662.jpeg

17318310538296.jpeg

17318310539906.jpeg

17318310541514.jpeg

17318310543428.jpeg

17318310545052.jpeg

17318310546872.jpeg

17318310548695.jpeg

17318310550595.jpeg

17318310551892.jpeg


가장 큰 이유는 미 제5공군이 보유한 제트 전투기로 북한군이 보유한 프로펠러 전투기를 모두 괴멸시키고 제공권을 장악했기 때문.

한반도 제공권을 장악한 미군은 낙동강 방어선으로 오는 다리를 모두 끊어버리고 보급창고를 폭격하여 북한군의 보급 시스템을 마비시킴.

정작 낙동강 아래로 고립된 한국군과 미군은 일본으로부터 안전하게 식량과 군수 물자들을 보급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전세가 뒤집어짐.












17318310553343.jpeg

1731831055483.jpeg

1731831055625.jpeg

17318310557715.jpeg

17318310559139.jpeg


미공군은 북한의 보급로를 끊었을 뿐만 아니라, 낙동강 방어선 전투에도 참여하여 대활약함.

미공군이 낙동강에서 선전한 덕분에 미군은 정예부대를 빼돌려서 인천 상륙 작전을 성공할 수 있었음.


Copyright ⓒ 정치9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