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량이 늘면 치매 위험이 낮아지고 반대로 지방량이 늘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젊을 때부터 미리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게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성민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연구교수와 박상민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약 1300만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성별과 연령에 따른 체성분 변화가 치매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그동안 비만은 치매 발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만과 치매 간의 관계는 비만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흔히 비만의 척도로 사용되는 체질량지수(BMI)는 근육과 지방을 구분하는 데 한계가 있어, 치매 위험 평가 시 지방과 근육량을 포함한 신체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연구팀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신체 구성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더 정교한 위험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는 2009~2010년과 2011~2012년에 건강 검진을 받았으며 치매 병력이 없는 총 1321만 520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검증된 예측 방정식을 사용해 지방 없는 질량 지수, 팔다리 골격근량 지수(pASMI), 체지방률 지수(pBFMI)를 추정했다.
각 지표는 지방을 제외한 신체 구성, 팔과 다리의 근육량, 체지방량을 나타낸다. 두 번의 건강 검진 데이터를 비교해 각 지표의 변화를 측정하고, 약 8년 동안의 코호트(전향성 추적조사) 분석을 통해 근육과 지방량 변화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녀 모두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지방 없는 질량이 1kg/m²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15% 감소하고, 팔다리 골격근량이 1kg/m²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30% 감소했다.
여성의 경우 지방 없는 질량이 1kg/m²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31% 감소하고, 팔다리 골격근량이 1kg/m²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41% 감소했다.
반면, 지방량이 증가할수록 치매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체지방률이 1kg/m² 증가할 때 치매 위험이 19% 증가하고, 여성의 경우 53%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연령, 성별, 초기 체중, 체중 변화와 관계없이 모든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60세 이하의 사람들이 60세 이상의 사람들보다 근육과 지방량 변화가 치매 위험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박상민 가정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근육량 증가와 지방량 감소가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말했다.
김성민 융합의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젊은 나이부터 신체 구성을 관리하는 것이 장기적인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대규모 연구"라며 "근육량을 늘리고 지방량을 줄이는 것이 노년기의 치매 위험을 줄이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위키트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