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비가 늘면 물가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고용 측면에선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DI 현안분석’ 보고서(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29일 내놨다.
김지연 KDI 경제전망실 전망총괄은 2017년 1분기부터 올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다만 서비스 소비에 관한 자료의 한계로 상품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체 소매판매에서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하면 당해 연도의 상품 물가 상승률은 0.07%p가량 하락했다. 해당 기간 온라인 소비 비중이 14%에서 27%로 증가한 점을 감안할 때 소비 형태의 온라인 전환이 같은 기간 상품 물가지수를 2.4% 낮췄음을 시사한다. 소비자물가 품목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해당 기간 소비자물가지수를 1.1% 낮췄을 것으로 김 총괄은 추산했다.
김 총괄은 “온라인 판매업체는 유통단계 축소, 매장 유지 비용, 인건비 절감 등을 통해 오프라인 업체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제품을 판매할 수 있다. 또 인터넷 특성상 가격비교가 용이하기 때문에 공급자 간 경쟁을 강화시킴으로써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상품시장의 발달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이른바 ‘아마존 효과’가 확인된 거다.
온라인 소비 확대는 물가 안정엔 긍정적이지만 고용 측면에선 일정 기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 충격’이 발생한다는 거다.
김 총괄은 2011년 1분기부터 올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면세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제외) 대비 무점포소매판매액(서비스 소비 배제) 비중과 취업자 수 증감 등의 지표를 활용해 온라인 소비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고용반응)를 추정했다.
분석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 1%p 확대 시 연간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 4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반응이 가장 크게 나타난 업종은 숙박·음식업이다.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했을 때 해당 업종의 취업자 수는 2분기 뒤 최대 2만 7000명 축소됐고 약 2년간 유의미한 파급효과가 지속됐다. 도소매업의 경우 취업자 수가 최대 2만 7000명 축소됐지만 그 영향은 비교적 단기간에 그쳤다. 반면 운수·창고업에선 취업자 수가 1만 7000명 확대되는 등 단기적으로 고용이 창출되는 효과가 엿보였다. 연평균으로 따지면 숙박음식업과 도소매업에선 각 2만 3000명, 1만 9000명 감소하고 운수창고업에선 8000명 증가했다. 이외 다른 업종에서의 고용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김 총괄은 “전자상거래 기술 발전과 온라인 소비 확대로 인한 경쟁 촉진의 결과로 발생하는 물가 안정 효과가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도록 시장 여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반면 노동시장에선 업종 간 고용 조정을 촉발하고 있는 만큼 숙박음식업이나 도소매업 등 고용 충격이 큰 업종에 대한 경제사회적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기준 기자 lkj@ggilbo.com
Copyright ⓒ 금강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