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60세 중장년층, 과도한 달리기 ‘운동유발성고혈압’ 위험

40세~60세 중장년층, 과도한 달리기 ‘운동유발성고혈압’ 위험

메디컬월드뉴스 2024-06-13 23:05:54 신고

일반적으로 달리기는 심폐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40세~60세 사이 중장년층의 과도한 달리기는 심장 돌연사를 일으키는 운동유발성고혈압(Exercise-Induced Hypertension)으로 이어지기 쉽다는 게 밝혀졌다.


마라톤과 같은 고강도 달리기가 자칫 중년의 심장에는 독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 것이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박경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운동재활복지학과 김영주 교수팀이 선행 연구를 종합 분석했을 때 연령과 나이, 인종을 망라하면 운동유발성고혈압의 유병률이 3~4%로 높지 않지만, 중년 남성으로 국한하면 40%(10명 중 4명)로 대폭 증가했다.  


마라톤을 즐기는 중년으로 범위를 더 좁히면 56%가 운동유발성고혈압에 해당했다. 

마라톤을 하는 중년 남성 상당수가 운동유발성고혈압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는 이러한 고혈압이 일으키는 2차 질환이다. 

운동유발성고혈압은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인 죽상동맥경화증을 가속화하고, 심방확장, 심근비대 등을 유발해 치명적 부정맥으로 악화될 수 있다.


실제로 교수팀이 찾은 한 논문에는 같은 중년층에서 죽상동맥경화증 유병률이 일반인은 22.2%이었지만 마라톤과 같은 지속성 운동선수의 경우 44.3%였다. 

운동유발성고혈압의 또 다른 위험으로 부정맥이 지목됐다. 


걷기나 중간 강도의 달리기는 일반 인구의 심장 부정맥 유병률을 감소시키지만, 지구력 운동 선수는 심방세동 부정맥 위험이 일반인 보다 5배 높다는 연구도 있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10년 이상 일주일 3시간 이상 마라톤과 같은 고강도의 지속성 운동을 하는 경우 심방세동과 관련 있다고 설명했다. 심방세동은 돌연사의 주요 원인이다. 


교수팀은 이를 토대로 “40세가 넘어서면 마라톤을 즐기기에 앞서 자기 신체 능력부터 정확히 아는 게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림설명. 자기 신체능력을 벗어난 과도한 운동은 운동유발성고혈압을 일으키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심장 돌연사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주의해야 한다.)


박경민 교수는 “심장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운동부하검사와 본인의 심장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심장CT검사를 토대로 체계적으로 시작하는 게 오래, 건강히 달리기를 즐길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계적 운동 강도 향상과 지속적인 검진도 강조했다.

박 교수는 “일반적인 경우라면 성인은 하루 20 ~ 60분, 일주일에 3~5회, 최대 산소소비량(VO2 Max) 40 ~ 80%의 적당한 강도를 추천한다.”라며, “마라톤을 하는 경우라면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운동 혈압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심장CT 검사로 관상동맥석회화가 진행되지 않는지 살펴보아야 한다.”라고 밝혔다.


교수팀은 운동부하고혈압과 관련된 논문 24개를 종합 분석한 결과를 ‘임상의학저널(Journal of clinical medicine, IF 3.9)’ 최근호에 발표했다.


한편 운동유발성고혈압은 평소에는 혈압이 정상이더라도 운동 때면 과도하게 오르는 걸 말한다. 수축기 혈압이 남성의 경우 210 mmHg, 여성의 경우 190 mmHg 이상이 기준이다.

[메디컬월드뉴스 김영신 기자]



Copyright ⓒ 메디컬월드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