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생명, CM 채널 강화해 장기보험 판매 늘린다

농협생명, CM 채널 강화해 장기보험 판매 늘린다

아이뉴스24 2024-05-17 17:30:48 신고

3줄요약

[아이뉴스24 최석범 기자] NH농협생명이 CM(디지털)채널 영업 경쟁력을 강화한다. 채널 경쟁력을 키워 방카슈랑스 25%룰 적용 제외에 대비하고, 건강보험 등 보장성 신계약을 늘리겠다는 복안이다.

농협생명 관계자는 17일 "디지털 채널 영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컨설팅 업체를 선정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NH농협생명 본사 [사진=NH농협생명]

컨설팅 업체는 농협생명의 디지털 채널 영업 전략을 수립한다. 단기·중장기 목표와 구현 방향을 정하고, 중점 과제와 긴급 과제를 제안한다. 옴니 채널도 강화한다. 옴니 채널은 온오프라인 관계없이 소비자가 보험에 가입할 수 있게 한 서비스다.

업계에선 농협생명이 방카슈랑스 25%룰 적용 예외 종료에 대비해 디지털 채널을 강화한다고 관측한다.

방카슈랑스 25%룰은 은행이 판매하는 특정 보험사의 상품 비중을 25%로 제한하는 규정이다. 농협생명은 지난 2012년부터 이 규정을 적용받지 않는다.

농협생명은 신계약 대부분을 전국 시군구에 있는 농축협에서 모집한다. 작년 말 기준 농축협 등 금융기관보험대리점(방카슈랑스)이 모집한 수입 보험료는 9381억원이다. 이는 전체 수입 보험료(9546억원)의 98%다.

문제는 특례 연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국회가 특례를 3번(총 15년) 연장했고, 경쟁 보험사들 사이에서도 특례 연장에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중앙회와 금융지주 간 갈등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방카룰 25%는 농업협동조합법 개정으로 이뤄진다. 이는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관이다.

특례가 종료되면 농협생명의 초회보험료와 순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방카룰 25%를 적용하면 농협 보험의 신계약과 순이익이 각각 전년보다 37.8%, 20.2% 감소한다고 전망했다.

건강보험 등 장기 보장성 인보험 판매를 늘리려고 디지털 채널을 강화한다는 의견도 있다.

장기보험은 생보사가 판매에 집중하는 상품이다. 장기보험을 많이 팔수록 보험계약마진(CSM)을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 CSM은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는 이익의 현재 가치다. 보험사는 CSM을 일정 비율로 상각해 이익으로 인식한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농협생명이 디지털 채널을 강화하는 건 방카 25%룰 적용 제외 연장을 하기 쉽지 않다는 판단과 건강보험 등 장기보험을 판매하려는 전략 때문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