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보유한 HMM 전환사채(CB)가 모두 주식으로 전환된다. HMM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방어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지만, 자사주 소각까지 이어질 경우 대주주 지분율이 더 높아져 매각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산은과 해진공은 오는 17~18일, 각각 절반씩 보유한 총 7200억원 규모의 HMM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2020년 4월 발행된 '제197회 전환사채'는 이자율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스텝업(Step-up)' 구조로, 오는 21일 연 6% 이율이 적용되기 전 전환권 행사를 결정한 것이다.
해당 전환사채는 발행 5년차까지는 연 3%의 이자율이 적용되지만, 6년차부터는 3%포인트가 가산되고, 이후 매년 0.25%씩 상승해 최대 10%에 도달할 수 있다.
산은과 해진공은 보유한 모든 CB를 전환하면서 양대 기관의 HMM 지분율은 기존 67.06%에서 71.69%로 증가하게 된다.
전환사채 전환은 시가총액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동시에 민간 주주의 지분 희석을 초래해 주가 하락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이중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전환사채 물량이 모두 정리되면 불확실성이 해소돼 주가에는 긍정적일 것이란 기대감도 함께 나온다.
이런 가운데 HMM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전환사채 주식 전환으로 늘어난 유통물량을 상쇄시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HMM은 지난 1월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하며 1년 내 약 2조5000억원 규모의 주주환원 계획을 제시했다.
이미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총 5286억원 규모를 집행했으며, 남은 2조원 상당이 자사주 매입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경배 전 HMM 사장은 지난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밸류업을 위해서 회사 차원에서 자사주를 매입·소각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자사주 매입은 CB 전환으로 늘어난 유통 주식 수 증가를 흡수해 희석 효과를 상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서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4월 전환사채 전환으로 유통 주식 수가 약 1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자사주 매입이 이뤄질 경우 대부분 상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자사주를 단순 매입에 그치지 않고 소각할 경우 상황은 달라진다. 자사주 소각은 총 발행주식 수 자체를 줄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존 대주주의 지분율은 오히려 더 올라가게 된다. 이 경우 HMM의 민영화를 희망하는 정부의 전략에는 되려 역풍이 될 수 있다.
실제 산은과 해진공은 2023년 11월 HMM 보유 지분 57.9%에 대해 본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논의되던 인수가격은 약 6조원 수준이었지만 이미 한 차례 매각이 무산됐다.
전환사채 전환 후 정부 지분이 71.69%로 늘고, HMM 시가총액이 17조 원에 근접하면서 향후 매각가도 두 배 가까이 상승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구교훈 한국물류사협회 회장은 “자사주를 매입·소각할 경우 주가 부양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대주주 지배력은 강화된다”며“HMM은 주가 하락기 동안 주주들의 피해가 컸던 만큼, 약속한 주주환원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미 71.69%란 지분율도 매각이 어려운 수준이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주주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