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전세계 배터리 기업 중 최다 11만여 건 특허 보유
경쟁사 침해 전략특허만 1000여개...강경 대응 예고
[포인트경제]
이한선 LG에너지솔루션 특허그룹장 전무가 "대한민국의 미래는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이자 최초인 명품특허를 선점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며 기술패권 경쟁에서 특허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전무는 15일 열린 '2025년도 제1차 지식재산 전략 토론회'에서 '기업의 고품질 특허 창출 노력과 한계'라는 주제로 한 발표에서 "2차전지 산업과 같은 국가 전략 산업의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서는 ‘명품특허(Premium Patent)’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는 기술패권을 위한 경쟁 중이며
그 핵심은 '명품특허'에 있습니다.
이 전무가 언급한 '명품특허'는 ▲우수한 기술성 ▲넓은 권리범위 ▲강한 특허보호 수준 등으로 결정되며 기술경쟁이 심화된 현 시점에서 가장 강력한 보호 수단임. 특히 초창기부터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배터리 시장을 개척해온 ‘오리지널 이노베이터(Original Innovator)’들에게는 다양한 방법으로 경제적인 수익을 창출해주는 특허 등을 말한다.
현재 국내 기업들은 R&D 거점을 주로 한국에 두고 있어 한국 출원 후 해외 확장 방식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심사속도, 권리범위, 국제적 인정 측면에서 제약이 있으나 기업 노력만으로는 글로벌 명품특허 선점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 전무는 "명품특허는 단순한 기업 자산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핵심 전략이기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뿐 아니라 특허청, 법원, 지식재산 업계 등 관련 주체들이 각자의 영역에서 ‘창출, 활용, 보호’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함께 협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2차전지 분야에서는 중국 기업들의 빠른 추격과 특허 확대 전략으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다수의 중국 기업들이 빠른 특허 심사 시스템을 활용해 신속하게 글로벌 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오래 전부터 ‘IP R&D’ 문화를 정착시켜, 기술개발과 동시에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왔고, ‘시간의 축적’에 따른 경쟁력으로 이미 다수의 명품특허를 확보하고 사업화에 활용 중이다.
실제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기업 중 가장 먼저 2차전지 관련 연구를 시작한 배터리 산업의 선도기업으로서 30년이 넘는 오랜 업력을 통해 압도적인 특허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이에 이 전무는 "대한민국이 글로벌 리더인 국가적 핵심 산업에서 미국, 유럽 등과 같은 해외 주요 격전지에서 보다 빠른 속도로 '명품특허'를 선점하는 일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인정 보호 제한으로 인해 보유 침해 가능성도 높아진다. LG에너지솔루션에 따르면, 회사 보유한 특허 중 경쟁사가 침해하거나 침해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략특허' 수는 1000여 개에 달한다. 이 중 실제 경쟁사가 침해한 것으로 확인된 특허수만 해도 580여 건에 이른다.
경쟁사들이 침해하고 있는 기술은 기초 소재부터, 공정, 차세대 배터리 및 BMS 등으로, 최근에는 LFP 각형전지나 CTP, 원통형 46 시리즈 분야에서도 다수의 특허 침해가 확인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월 기준, 등록 약 4만여 건, 출원 약 7만2000여 건으로 전세계 배터리 기업 중 최다 특허를 확보하고 있다.
이한선 전무는 "지금 이 순간에도 세계는 기술패권을 위한 경쟁 중이며 그 핵심은 명품특허에 있다"며 "대한민국의 미래는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이자 최초인 명품특허를 선점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이어 "도전과 도약을 통한 선제적 핵심기술 개발과 이를 보호할 수 있는 명품특허의 확보는 최고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포인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