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리스크에 메모리 수요 늘지만…"업황 둔화 불가피"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관세 리스크에 메모리 수요 늘지만…"업황 둔화 불가피"

이데일리 2025-04-15 15:13:41 신고

3줄요약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키우는 관세 리스크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반도체 관세 부과 전 메모리 재고를 비축해두려는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미래의 수요를 미리 소진하는 탓에 중장기 업황 침체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


15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전날 관보를 내고 반도체와 반도체 제조장비, 파생상품 등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조사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관세 부과 절차를 밟기 시작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반도체 등이 국가 안보에 중요하다면서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해왔다.

관세가 현실화하면 미국으로 들어가는 모든 메모리는 전보다 비싸질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뿐 아니라 미국 기업 마이크론도 대부분의 메모리 물량을 미국이 아닌 아시아권에서 제조하고 있다.

이에 관세 부과 전 메모리 재고를 미리 확보하려는 ‘사재기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메모리사업에서만 3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낸 것으로 추정되는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는 일시적이다. 미래의 수요가 현재 시점에 선반영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추후 업황 개선 요인이 없다면 중장기적 시장 침체는 불가피하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 이슈가 크게 터지면서 메모리를 미리 사두려는 수요가 지속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좋겠지만 지속가능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관세 리스크는 길게 보면 오히려 업황을 가라앉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미국으로 수출할 메모리 가격이 오르면 최종 제품의 가격에 반영돼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관세를 가격에 반영하지 않으면 기업 수익성이 하락한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를 가격에 반영하든 하지 않든 기업 실적에는 부정적인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일반 메모리 수급이 개선되고 현물가격도 반등하고 있지만 최종 수요 흐름은 여전히 부진하다”며 “관세로 시작한 글로벌 무역 분쟁이 향후 수요 불확실성을 더 높이고 있다”고 봤다.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공장. (사진=삼성전자)


고대역폭메모리(HBM) 중심으로 매출을 내고 있는 SK하이닉스(000660)는 그나마 사정이 낫다. HBM은 수주형 사업인 데다 인공지능(AI) 산업이 지속 성장하고 있어 응용처인 AI가속기 탑재용 수요가 지속할 전망이다. SK하이닉스의 올해 HBM 물량은 이미 다 팔았고 내년 물량 역시 올해 상반기 중 완판 예정이다.

이와 달리 삼성전자(005930)는 아직 HBM 존재감을 키우지 못했고 범용 제품 위주의 메모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관세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는 의미다. 향후 수요 변동에 크게 출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규복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석좌연구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이 협상판으로 바뀔 여지가 있겠지만, 현재로선 HBM을 제외한 메모리 업황이 주춤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