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경제] 이동윤 기자 = 美 품목별관세, 상호관세 등 우리 기업들이 직면한 수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대규모 지원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수출입은행을 통해 9조 원의 정책자금을 추가 공급하며, 대미(對美) 수출기업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특히, 미국의 복잡한 관세 체계에 대응하기 위해 관세청에 '품목분류 상담센터'를 신설하고,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과 컨설팅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러한 대응은 수출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기업들이 유리한 조건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일환이다.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인해 우리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가 과감한 대응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비상 상황에 맞는 정책 지원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추가 정책자금 공급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3조 원의 자금을 공급하고, 금리를 최대 2%p까지 인하할 예정이다. 또한, 대기업에는 2조 원 규모의 자금을 추가로 지원하며, '수출 다변화 금융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수출 지역과 품목에 대한 지원도 강화한다.
또한 정부는 대미 수출기업의 관세행정 애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 간 협력 채널을 통한 실시간 정보 제공을 확대하고, '미국 관세 품목분류 상담센터'를 신설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최 부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와 중국의 대응 조치 등으로 통상 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해 경제 주체들과 협력해 나가겠다"며 향후 대응 전략을 밝혔다.
정부는 또한 해외수주 실적을 점검하며, 연간 500억 달러의 수주 목표 달성을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수주 다변화와 주요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npce@dailycnc.com
Copyright ⓒ 소비자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