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냐" …직접 나선 배경은?

실시간 키워드

2022.08.01 00:00 기준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냐" …직접 나선 배경은?

센머니 2025-04-14 09:57:34 신고

3줄요약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트루스소셜 캡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트루스소셜 캡쳐.

[센머니=홍민정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재차 확인했다. 일부 언론의 유화적 해석에 대해 다시금 강경한 입장을 명확히 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에 "지난 11일 발표는 관세 예외가 아니며, 이들 품목은 이미 기존 20% 펜타닐 관련 관세 대상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 제품들은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겨질 뿐이며, 향후 국가 안보 관세 조사를 통해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11일, 트럼프 대통령은 대통령 각서를 통해 반도체와 전자제품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해당 품목이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125% 상호관세와 기타 국가 대상의 상호관세 대상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된다고 공지했다. 이 발표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갈등 완화를 위해 유화적 입장을 취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날 행정부 관계자들은 방송 인터뷰 등을 통해 "반도체와 전자제품은 단지 기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일 뿐, 앞으로 진행될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이후에는 추가적인 관세 부과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국가 안보를 위협하는 품목에 대해 대통령이 관세 부과 등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법률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 역시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전자제품 관세 부과는 한 달 이내에, 반도체와 의약품은 최대 두 달 이내에 이뤄질 수 있다"고 예고하며 기업들의 긴장감을 높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대한 추가 관세가 수주 내지는 수개월 동안 없을 가능성이 있으나, 결국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는 또 "부과될 품목별 관세율은 중국산에 부과되는 125%보다는 낮을 가능성이 높다"며, "기업과 로비스트들이 추가적인 관세 제외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된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을 상대로 불공정한 무역 장벽을 세운 어떤 나라도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중국처럼 미국을 적대시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더욱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 행정부의 불확실한 정책 변화가 이어지면서 시장과 기업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노스먼트레이더의 스벤 헨리히 창립자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의 일관되지 않은 메시지 때문에 기업들이 사업 계획과 투자 결정을 내리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센머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광고 보고 계속 읽기
원치 않을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실시간 키워드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0000.00.00 00:00 기준

이 시각 주요뉴스

알림 문구가 한줄로 들어가는 영역입니다

신고하기

작성 아이디가 들어갑니다

내용 내용이 최대 두 줄로 노출됩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이 이야기를
공유하세요

이 콘텐츠를 공유하세요.

콘텐츠 공유하고 수익 받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주소가 복사되었습니다.
유튜브로 이동하여 공유해 주세요.
유튜브 활용 방법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