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영 원내대변인은 13일 논평을 내고 “민주당은 자신들의 전통으로 자부하던 국민경선 제도를 단 한 사람만을 위해 폐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권리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대선 후보를 선출하기로 12일 결정했다. 민주당은 지난 19·20대 대선에서는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 방식을 채택했었다.
서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당내 경선 주자들의 의견은 무시한 채 이 전 대표가 아닌 다른 후보가 최종주자가 될 수 있는 자그마한 틈도 허용치 않는 경선제도로 바꿔버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주당은 ‘역선택 방지’라고 둘러대고 있지만, 지난 대선 경선에서 ‘대장동 사건’이 불러온 국민적 비토와 이낙연 후보의 막판 맹추격을 경험한 이 전 대표의 불안감과 트라우마 때문인 듯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자신들은 일방 독재적 추대 대회를 펼치면서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을 향해 연일 도를 넘는 비난을 쏟아낸다”며 “아무리 ‘제 눈의 대들보는 못 본다’지만 전과 4범이자 12개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자를 대선 후보로 옹립·추대하려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비난할 처지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서 대변인은 “이 전 대표가 절대 다수 의석을 가진 민주당으로 국회를 장악해 정부를 어떻게 멈춰 세웠는지 모두가 지켜봤다”며 “그런데 행정부까지 장악한다면 대한민국이 단 한사람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민주당에 의한 완벽한 독재체제 완성을 국민들과 함께 막아내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도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민주당의 ‘어대명’(어차피 대표는 이재명)식 대선 경선 방식에 대해 당 안팎에서 비판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며 “이재명 일극 체제하에서 치러지는 경선은 그저 요식 행위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