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도전을 공식 선언했다.
김 전 지사는 13일 오전 세종시청에서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대통령실을 세종시로 옮겨오고 새로운 지방시대를 열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김 전 지사는 “내란의 상징인 용산을 더 이상 대통령실로 사용할 수 없다”면서 "대통령이 반드시 서울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어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전 지사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자치로 가야 대통령의 절대 권력을 막을 수 있다”면서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하도록 헌법부터 바꾸고 자치권도 명문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권역별 5대 메가시티 자치정부 비전을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국가 운영의 기본 틀을 바꿔야 하고 성장축을 다양화해야 한다”면서 “수도권 일극이 아닌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어 자치정부가 국가의 발전을 이끌어 가는 시대를 만들겠다”고도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연간 30조원 이상의 자율 예산 지원 ▲촘촘하고 신속한 광역교통망 조성 ▲정책금융기관 및 지역투자은행 설립 ▲민간 벤처 모펀드 50조원 조성 등을 통해 5개 메가시티 자치정부의 성장축을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개헌 논의와 관련, 김 전 지사는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내란 종식의 완성은 개헌이지만 개헌 논의가 내란 세력의 책임 면피 수단이 될 수는 없다"며 "윤석열 보유정당의 이름표를 달고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과 동거하며 어떻게 개헌을 얘기할 수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개헌은 헌정 수호 세력의 단단한 연대와 연합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새로운 헌법을 국민과 함께 만들고 제7공화국 새 시대를 열겠다"고 했다.
이어 "100일의 대타협, 5년의 비상 대책 정부를 통해 대계획과 비전을 만들겠다"며 이를 위해 차기 정부 출범 즉시 '100일의 대타협과 빛의 연정 만들기'를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으로 불린 김 전 지사는 노무현·문재인 정부에서의 이력을 강조하며 "입법·행정·국정 경험을 모두 가진 유일한 후보로, 거인들의 어깨 위에서 배운 통합과 연대의 경험과 비전이 있다"면서 타 후보들과의 차별성을 부각하기도 했다.
그는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3대 민주 정부의 공과를 모두 가진 민주당은 경험에 바탕으로 한 실력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것"이라며 "저에게 기회를 달라.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며 단식하던 절박함으로 대한민국의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콘텐츠는 뉴스픽 파트너스에서 공유된 콘텐츠입니다.